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할 수 있는 게 이렇게 많은데 놓쳐 버리는 건 너무 아깝더라고요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직접 해본다는 것 자체가 큰 경험이었다”고 말했다.사실 실험 경험을 쌓는 것보다 더 큰 소득은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구체화했다는 것이다. 승재 씨는 “교수님도 1주일에 두 번씩 일대일로 만나고, 선배들과는 수시로 대화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새로운 소재를 찾기 위해서는 기계학습을 ... ...
- [인터뷰]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말한다! 수학으로 통하는 미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생각”이라며 “어떤 꿈을 가지고 어떤 진로를 택하든 AI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가 큰 힘이 될 테니 막연한 두려움 때문에 포기하지 않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 최 장관님께 물었다! “어떡하면 수학을 잘할 수 있을까요?” 학생 시절 수학을 무척 좋아하고 잘했다는 장관님께 수학동아 ... ...
- 수학 기자가 풀어드립니다! 서울+부산 시장, 보궐선거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월 7일 한국에서 가장 큰 도시인 서울과 부산에서 시장 보궐선거를 치릅니다. 보궐선거는 이전 당선자가 임기를 마치지 못했을 때 남은 기간을 채울 사람을 뽑는 선거예요.그런데 이게 웬걸? 조건부 출마, 수직정원, 여론조사, 신뢰도…. 후보들의 선거전을 보고 있으면 저는 자꾸 수학이 생각나지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6화. 펜로즈 타일링과 대칭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기억하는 분이 많으실텐데요. 블랙홀과 우주를 연구하는 펜로즈 교수가 대칭의 세계에도 큰 업적을 남겼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길을 걸어갈 때 흔히 볼 수 있는 보도블록, 집 마룻바닥과 벽지, 건물의 벽면을 보면 단순한 무늬가 반복되며 평면을 채우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 ...
- [이슈] 별별자전거로 떠나는 세계여행, 자전거랜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작아 땅과 닿는 마찰 면적도 작아요. 그래서 가볍고 빠르게 달릴 수 있죠. 대신 바퀴가 큰 자전거가 페달질 한 번에 긴 거리를 주행하는 반면, 작은 바퀴는 페달을 더 많이 밟아야 해서 힘이 더 들어요. 미니벨로는 자전거의 크기도 작지만, 작게 접을 수 있어 평상시에 들고 다니기 편해요. 영국의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성게가 모자를 즐겨 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영상에서 확인해 보세요. 북극 하늘에 반짝이는 국자 모양의 별자리를 아시나요? 큰곰자리의 꼬리에 해당하는 별 7개를 총칭해 ‘북두칠성’이라고 부르죠. 왜냐하면 별이 7개니까요~.그런데 충격적 반전! 밤하늘의 별 관찰을 컨텐츠로 만드는 나쫌NaZZom 채널에서 직접 북두칠성을 확대해 봤더니, ... ...
- [디지털리터러시] 개인정보, 도대체 어디서 훔치는거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위험성과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다음 5화에선 세계에서 가장 큰 도서관이라고 할 수 있는 인터넷에 대해 알아 볼게요~! 용어정리* 개인정보: ‘개인정보’는 개인의 신체, 재산, 사회적 지위, 신분 등에 관해 알 수 있는 모든 정보들을 말한다 ... ...
- [에디터 노트] 식물과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실없는 상상 속 이야기를 썼습니다. 이게 다 이번 호 특집 때문이에요. 최근 가정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가드닝을 다뤘습니다. 특히 사람 이야기를 많이 담았어요. 가드닝에 매료된 사람들은, 그동안 인간이 가진 동물로서의 한계 때문에 미쳐 발견하지 못했던 독특한 특성과 매력이 식물에 ... ...
- 다시 보는 밥상 위의 물고기, 그리고 자산어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전혀 다른 종류의 물고기지만 정약전의 묘사는 일반인들의 상상을 한참이나 벗어난다.“큰 놈은 길이가 2m 남짓 된다. 허리통도 굵어서 몇 아름이나 된다. 음력 6~7월경 상어를 잡는 사람들이 낚시를 물 밑바닥까지 늘어뜨린다. 상어는 낚시에 걸리면 거꾸로 매달린 자세가 된다. 이때 대면은 낚시에 ... ...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세포 단위로, 염색체 단위로, 유전자 단위로, 염기서열 단위로 쪼개서 연구하다 보니 큰 시야로 보는 분들이 부러워요. 천체나 우주를 연구하는 분들이 대단하다 싶고 저도 한번 해보고 싶어요. 과동 : 앞서 발사체를 연구하시는 분은 생명공학 분야라고 답했는데 재밌네요. 마지막으로 교수님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