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양분
양분
자양
일런드
미혼 여성
아가씨
따님
뉴스
"
영양
"(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의 폐가 비타민 C 덩어리?!
과학동아
l
2014.03.30
식도를 타고 움직이는 과정을 여행처럼 풀어가며 매 단계에서 발생하는 화학 현상과
영양
분의 배분 등을 실험과 통계를 이용해 설명한다. 와인 감별사가 비싼 와인을 구별할 수 있는 이유에서 얼마나 먹으면 위가 터지는지, 정말 변비로 죽을 수 있는지까지 끊임없는 궁금증을 제시하며 코와 미각의 ... ...
‘시린 이’ 2주 지나 치과 갔다가 ‘공사’ 키웠다
동아일보
l
2014.03.10
한쪽 어금니는 신경과 혈관이 없는 치아가 됐다. 신경과 혈관이 없는 치아는 혈관을 통한
영양
공급이 없기 때문에 결국 푸석푸석하게 돼 쉽게 상한다. 더구나 음식물을 씹을 때 마모되는 정도는 더욱 크다. 이렇게 치아가 상하는 것을 막기 위해 금 또는 세라믹으로 만든 크라운을 씌운다. 잘만 ... ...
기후변화는 거짓말? 동해·남해 오히려 차가워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7
최정화 국립수산과학원 박사는 “해양생물이 수온 등 바뀐 환경에 견딜 때에는
영양
상태가 좋지 않고 알도 적게 낳아 개체군 전체가 줄어든다”며 “서식지를 떠나더라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해수온도가 1도만 변하더라도 해양생태계는 확 바뀔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남극에서 찾은 운석, 화석 박테리아의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4.03.03
지구의 지질과 생명체 연구결과에 비추어봤을 때 화성에 외부의 탄소를 자신에게 필요한
영양
분으로 바꾸는 ‘동화작용’과 같은 생명활동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 ...
뚱뚱한 사람이 자주 아픈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10여 년간 많은 연구를 통해 지방조직이 단순히 남는 에너지를 저장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영양
상태를 스스로 파악해 능동적으로 뇌, 간, 근육 등 다른 조직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지방세포가 신호 전달 물질을 만들어 다른 조직에 신호를 보내는데, 비만으로 인해 지방조직에 ... ...
모유 수유 장점 과대평가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미쳤다는 뜻이다. 컬렌 교수는 “모유 수유가 신생아의 면역력을 키워주고 균형 잡힌
영양
소를 공급해준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면서도 “모유 수유가 아이에게 학업능력이나 성장에 장기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는 ‘과대평가’가 된 것 아닌가 짚어볼 필요는 있을 것”고 ... ...
다른 듯 닮은 그녀들의 허벅지
과학동아
l
2014.02.20
뒷심에 필요한 ‘젖산 내성’을 키우는 데 좋다. 고강도 운동을 하면 근육에 저장된
영양
분인 글리코겐이 분해되면서 에너지가 나오는데, 이때 부산물로 젖산이 나온다. 쉬다가 단거리 달리기를 하면 근육의 젖산 농도는 20배까지 늘어난다. 또 젖산에서 분리돼 나온 수소 이온이 근육을 산성으로 ... ...
사료에서 나오는 온실가스 발생량 얼마일까 궁금하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기타 주요 사료 6종의 메탄량 상대지수를 구했다. 그리고 이를 물질의 구성성분이나
영양
성분을 분석하는데 쓰이는 '근적외분광분석기(NIR)'를 이용해 구한 발효시키지 않은 7종 사료의 메탄 발생 추정치와 비교해 본 결과, 각각의 방식에서 얻은 메탄량이 일치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
근육예찬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줄어드는 속도를 얼마나 늦출 수 있느냐가 노화를 늦추는 관건이라는 것. 그러면서
영양
처방을 해주는데 바로 ‘유청단백질(whey protein)’이다. 유청단백질은 우유단백질에서 카제인을 뺀 나머지다. ‘이게 뭐야?’ 흥분한 필자는 유청단백질을 검색해봤고 이미 보디빌더들이 닭가슴살과 함께 ... ...
퇴행성 관절염 유발 범인은 바로 아연
동아사이언스
l
2014.02.13
치료법이 없어 진행속도를 늦추는 것이 현재로선 최선이다. 2010년 정부 국민건강
영양
조사 결과 50대 이상의 성인 중 4명 당 1명꼴로 퇴행성관절염을 호소하고 있으며 발병률은 나이가 들수록 높아지고 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장수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아연 이온이 퇴행성관절염을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