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융기
도상체
돌출부
돌출
가장자리
장식돌기
회전
뉴스
"
돌기
"(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비눗방울 위 태양전지 떴다' 네이처 선정 올해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를 시각화한 모습이다. 둥근 바이러스 곳곳에 나 있는
돌기
가 선명하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류가 가장 실제 모습을 잘 아는 바이러스로 기록될 전망이다.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하면서 바이러스 시각화를 통해 이 질병의 위험함을 알리는 것 또한 과학자들의 ... ...
늘리거나 굽히면 전구가 반짝…스스로 전기 만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전극층보다 더 늘어나면서 두 층 사이에 마찰을 발생시키게 된다. 우레탄폼은
돌기
형태로 만들어 늘리거나 구부릴 때 전극층과 마찰 표면적을 최대화했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그 결과 늘림과 굽힘을 가했을 때 320V의 전압과 25마이크로암페어(㎂·100만분의 1A) 전류를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영국, 화이자·옥스퍼드 백신 혼용 접종계획…면역증강 위해
연합뉴스
l
2020.12.09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두 백신은 코로나바이러스의 표면에 돋아나 있는 쇠뿔 모양
돌기
인 단백질 '스파이크' 성분을 타깃으로 삼지만, 작동 방식은 다르다. 옥스퍼드 백신은 침팬지의 아데노바이러스에 기초해 있어서 유전 물질을 세포 안으로 나른다. 이에 비해 화이자-바이오엔테크 ... ...
두개골 훼손 없이 뇌 신경망 구조 고해상도로 본다
연합뉴스
l
2020.12.03
수 있는 현미경)에 반사행렬 현미경을 적용, 쥐 두개골을 훼손하지 않고도 신경세포 수상
돌기
가시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얻는 데 성공했다. 최원식 부연구단장은 "실제 의료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현미경을 소형화하고 이미징 속도를 높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실시간 질병 진단 등 ... ...
[코로나19 연구속보] 모유(母乳)가 코로나 바이러스 막아낼 항체 만든다
2020.11.23
단백질에서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에 결합하는지 검사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표면의
돌기
인 스파이크를 숙주세포 표면의 ACE-2 수용체 단백질에 결합시켜 내부로 침투한다. 이때 스파이크의 RBD가 ACE2와 결합한다. 연구진은 코로나 왼치 여성 15명 중 12명에서 면역글로불린(IgA)의 결합 반응을 ... ...
美 FDA, 리제네론 항체치료제 긴급사용승인...국내선 셀트리온이 임상중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부른다. 대부분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세포 침투를 개시하는 역할을 하는 표면
돌기
단백질(스파이크 단백질)의 특정 부위를 인식해 둘러싸 침투를 막는다. 리제네론의 항체치료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 감염시 치료에 활용돼 주목받았다. 트럼프는 당시 이 약을 투약받고 즉각 ... ...
소형발사체기업 '로켓랩' 1단 로켓 귀환 착수 실험 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고도는 올리지 않은 채 지구를 공전하다 약 8분 40초부터 로켓을 끄고 타원 궤도로 지구를
돌기
시작했다. 이후 서서히 목표 궤도인 500km 상공으로 고도를 높여 약 1시간 7분 뒤인 12시 27분경 모든 탑재체를 궤도에 안착시키는 데 성공했다. 한편 분리된 1단 로켓은 낙하산을 펼친 채 바닥에 착수했다. ... ...
[백신 업데이트] 美 모더나 mRNA 백신 "임상3상서 예방 효과 94.5%"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모더나는 mRNA가 코로나바이러스 표면의
돌기
인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들어 체내에서 면역반응이 일어나 항체를 생성하도록 설계했다. 파우치 소장은 CNN에 “mRNA 백신이 제대로 작동할 것인지에 대해 지금까지는 회의적이었지만, 이번 결과로 mRNA ... ...
새로운 코로나19 치료제 '나노 단백질'에 주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6
부르는데 대부분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세포 침투를 개시하는 역할을 하는 표면
돌기
단백질(스파이크 단백질)의 특정 부위를 인식해 둘러싸 침투를 막는다. 비유하자면 맹수인 호랑이떼가 달려들 때 호랑이의 입만 골라 재갈을 물려 공격을 못하게 막고 결국 굶겨 죽이는 것과 비슷하다. 국내에서는 ... ...
브릭완구, MRI 품질평가에도, 양자컴퓨터에도 사용된다
과학동아
l
2020.11.14
위해 팬텀을 원통과 직육면체 등의 모듈로 제작했다. 팬텀 상단에 브릭과 결합할 수 있는
돌기
를 만들고, 하단에도 브릭이 결합할 수 있는 홈을 만들었다. 팬텀과 브릭을 조립해 사용자가 팬텀의 모양과 크기를 손쉽게 바꿀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연구팀은 브릭으로 제작한 팬텀을 기존 제품과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