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융기
도상체
돌출부
돌출
가장자리
장식돌기
회전
뉴스
"
돌기
"(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이자 백신, 영국·남아공 변이 바이러스 감염 막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2.09
일어났다. N501Y는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침투한 뒤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할 때 사용하는
돌기
형태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가장 끝단에 나타난 돌연변이다. 기존 바이러스보다 70% 가량 높은 전파력을 보이는 이유로 추정된다. 남아공에서는 이 변이 외에도 E484K 변이가 확인됐다. E484K도 바이러스가 인체 ... ...
코로나19 오래 앓은 환자에게서도 영국 변이 바이러스와 같은 변이 발견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8
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SARS-CoV-2)의 입체 구조다. 표면에
돌기
형태를 띤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이가 발생하면 감염력이 늘어날 수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제공 장기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을 앓은 환자에게서 영국 변이와 같은 돌연변이가 발생한 사례가 확인됐다. ... ...
코로나 백신 치료제 개발 돕는 전국 연구장비 네트워크망 만든다
2021.02.08
시료를 순식간에 얼려 자연 상태로 관찰하는 장비다. 지난해 2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돌기
단백질 3차원 구조를 밝혀내며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혁혁한 공을 세웠다. 같은 시각 옆 실험실 모니터에 극저온전자현미경이 찍은 바이러스의 구조가 떴다. 광학 현미경이 촬영한 영상도 또 다른 모니터에 ... ...
英 변이 바이러스에서 남아공 변이 확인…백신 효능 변수 점점 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3
꼽는다. N501Y는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침투한 뒤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할 때 사용하는
돌기
형태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가장 끝단에 있으며, 이는 B.1.1.7이 기존 바이러스보다 70%가량 뛰어난 전파력을 나타내는 이유로 추정된다. 비슷한 시기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도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모빌리티 기술
과학동아
l
2021.01.16
나선형 모양, 로티니 파스타처럼 생긴 소용돌이 모양, 작은 구 모양, 구 위에 뾰족한
돌기
가 여러 개 돋아있는 모양, 심지어 우주선 모양까지 다양한 형태의 마이크로스위머를 제작했다. 연구팀이 제작한 마이크로스위머 중 가장 작은 것은 4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의 구 모양이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바이러스 변이체 위협적인가?
2021.01.12
바이러스 변이체 중 스파이크 단백질에 생기는 돌연변이에 주목한다. 바이러스 표면에
돌기
형태로 발현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은 숙주 세포 수용체인 ACE2와 결합해서 침입하는 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접종 중이거나 개발 중인 백신 대부분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무력화하는 중화항체를 유도하도록 ... ...
[주말N수학]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
수학동아
l
2021.01.02
구조를 음악으로 표현했다. 연구팀은 ‘음향화’ 기술을 이용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돌기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에 음계를 부여하고 단백질의 3차원 구조는 음의 길이와 세기로 나타냈다. 연구팀은 바이러스의 단백질 구조를 음악으로 표현하면 항체나 약물이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 부위를 ... ...
국내 상륙한 영국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어떤 특징이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9가 숙주 세포 속으로 침투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왼쪽). 코로나19 표면에 있는
돌기
모양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숙주세포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와 결합하면 퓨린 단백질분해효소(TMPRSS2)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일부분을 자르고 비로소 세포 내로 침투한다.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 ...
코로나19 바이러스 뇌에 침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8
17일자에 발표했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표면에 돋아 있는
돌기
형태로 인체 세포에 침투하기 위해 활용하는 ‘무기’다. 이 바이러스는 인체세포 표면에 돋아난 단백질 중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를 인식해 세포 안에 침투한다. 이 때 ACE2를 인식하는 역할을 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500회)항우울제 패러다임이 바뀔 수 있을까
2020.12.15
도움을 주기를 바란다. LSD를 비롯한 여러 사이키델릭은 정신가소제(psychoplastogen)로 신경
돌기
(neurite) 성장과 가시(spine) 밀도, 시냅스생성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친다. 현재 이들 물질의 부작용을 줄인 약물을 설계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셀 리포츠 제공 ※필자소개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