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후
안팎
시종
주변
주위
상황
d라이브러리
"
앞뒤
"(으)로 총 46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10
타고난 유연성을 바탕으로 최적의 밸런스를 유지한다. 그의 투구 동작을 보면 머리가
앞뒤
로 쏠리지 않고 무게중심의 축을 따라 나오며 이를 지탱하는 하체가 잘 발달돼 있다.이는 SK 와이번스의 김광현 투수와 비교하면 더 잘 알 수 있다. 양상문 코치는 “김광현 투수는 머리가 오른쪽으로 약간 ... ...
미션! 이상한 공장에서 고양이를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0
보세요!괴물 입모양 문을 살짝만 열어 놓으세요. 주변을 어둡게 한 다음 손전등을 들고
앞뒤
로 거리를 조절하며 문을 비춰 보세요. 그림자가 만든 열쇠가 보이나요? Stage 7 통조림 공장을 탈출하라!우리는 룽지를 데리고 서둘러 나오고 있었어. 그런데 들어올 땐 잘만 열리던 문이 아무리 밀어도 ... ...
거울은 숨은 그림 찾기의 달인?!
수학동아
l
201010
오른손을 올리고 있는데 마주 보고 있어 이런 착각을 하는 것이다. 사실은 좌우가 아니라
앞뒤
대칭이다. 거울에 여러 가지 물체를 비춰 보면서 거울의 원리를 살펴보자. 아하! 생각이 쑥쑥! 거울로 보는 미술작품이 있다! 없다? 한스 홀바인 2세의 1532년 작품 ‘대사들’을 보면 두 명의 남자가 ... ...
Part 2. 아름다운 한복
수학동아
l
201009
띠뿐 아니라 ‘클라인 병’이라고 부르는 4차원 구조도 볼 수 있어. 뫼비우스의 띠가
앞뒤
가 없는 띠라면, 클라인 병은 안과 밖이 없는 모양이야. 원기둥을 길게 늘여서 자기 몸을 뚫고 들어가 뒤집어진 모양으로 생겼지. 한복에서 클라인 병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한복바지는 속바지와 겉바지 ... ...
2014년을 향해 우리나라 수학자가 달린다
수학동아
l
201009
이 주제를 만들었어.남북 화합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단다. 2014 서울 국제수학자대회
앞뒤
로 열리는 크고 작은 학회행사 중 몇 개를 북한에서 개최할 계획이야. 북한은 물론 세계와 소통하며 진정한 의미의 학술 교류란 무엇인가를 보여 주겠다는 거지.2014 서울 국제수학자대회를 알리기 위해 ... ...
Part 3. 한가위의 달이 대보름달일까?
수학동아
l
201009
보름달이 뜨지. 하지만 이제 곧 뜰 달이 ‘100%보름달’은 아니야. 보름달은 보름날과
앞뒤
로 1~2일 사이의 달을 모두 가리키는 말이거든. 이 중에서 100% 보름달을 ‘둥근 보름달’이라고 해.이번 한가위의 둥근 보름달은 한가위 다음날인 23일 18시 17분에 떠. 보름날에 둥근 보름달이 뜨지 않는다는 게 ... ...
사랑받는 음악의 비결
수학동아
l
201009
했다. 음이 변하면
앞뒤
음높이가 변하기 때문에
앞뒤
숫자 사이에 차이가 생긴다. 이때
앞뒤
숫자의 차이를 그래프로 그리면 음이 변하는 정도를 쉽게 알 수 있다.그 결과 클래식 음악의 그래프는 부드럽게 오르내렸다. 음이 갑자기 올라가거나 내려가지 않았다는 뜻이다. 한 음이 있으면 다음 음은 ... ...
“내 손으로 풍력발전기 만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009
2명씩 조를 짜서 큰 주사위만한 ‘햄스터 로봇’을 움직여본다. 처음엔
앞뒤
로 움직이는 것조차 어려워했던 학생들은 끝날 때쯤에는 종이 위에 그린 커다란 직사각형을 따라 로봇이 계속 돌게 하는데 성공했다. 이호준(대전 들꽃중 2) 군은 “로봇을 움직여본 것은 처음”이라고 웃었다. 살아있는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08
호버링) 시키는 게 얼마나 까다로운지 알고 있다. 손가락을 조금만 잘못 움직여도
앞뒤
좌우로 날아다니기 일쑤다. 하늘에 떠 있는 물체는 공기의 흐름을 받으며 계속 움직여야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사람이 타는 진짜 헬리콥터라도 호버링은 까다로운 기술이다. 헬리콥터를 띄우려는 양력과 앞으로 ... ...
꽃잎에 숨어 있는 과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08
닿으면 빛의 전기장에 의해 원자나 분자의 전자구름이 빛의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로
앞뒤
로 진동한다. 원자나 분자의 낮은 상태와 높은 상태 간의 에너지 차이가 빛(광자) 에너지와 같으면 빛의 흡수가 일어난다. 두 에너지가 다른 경우에는 진동하는 쌍극자(dipole)를 만들게 된다. 전자기학 이론에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