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후
안팎
시종
주변
주위
상황
d라이브러리
"
앞뒤
"(으)로 총 463건 검색되었습니다.
끈적 끈적 찐득찐득 분비불 제거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2
데 쓰는 색소로 사용했다. 콧물 VS 침더 끈끈한 분비물은?끈끈하기로 치면
앞뒤
를 다투는 콧물과 침! 둘 중에서 누가 더 끈끈할까요? 분비물의 끈끈한 정도는 ‘뮤신’이라는 성분이 결정해요. 보통 침은 수분이 99.5%에 이르는 반면 콧물은 95~98%가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나머지는 뮤신을 포함한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0
지그재그로 직선을 긋고 선을 따라 다니지요. 그 다음부터는 연구원들이 배 위에서
앞뒤
좌우로 나눠 바다를 계속 노려보는 게 일이에요. 파도 사이 사이로 고래 지느러미가 보이는지 계속 쳐다보는 거지요.Q 바다에서 고래를 발견하는 방법를 알려 주세요!A 한 달 정도 바다에 나가 있는데, 하루에 ... ...
무더위는 가라! 한여름에 즐기는 스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5
먼저 잘 넘어지는 방법을 배워야 해요.그럼 어떻게 해야 잘 넘어질 수 있나요?스키는
앞뒤
로 길쭉한 모양이기 때문에 그냥 땅에서 넘어지듯 엉덩이로 주저앉으면 무릎에 무리가 오기 쉬워요. 그래서 옆의 그림처럼 다리를 모으고 옆으로 넘어져야 한답니다. 또 넘어지기 전에 몸에 긴장을 풀어야 ... ...
발도 튼튼! 몸도 튼튼 ! 신발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2
좁게 11자 모양으로 걷는다.➌ 자연스럽게
앞뒤
로 흔드는 팔의 움직임과 함께 어깨를
앞뒤
로 살짝 흔들면서 걷는다.➍ 발뒤꿈치부터 발바닥, 발끝 순서로 땅에 닿게 하면서 걷는다.이야~, 우리와 매일 함께 하는 신발이 이렇게 과학적인 것이었구나! 함께 온 ‘새신모’ 회원들의 신발을 확인해 보니 ... ...
지리산이 감싼 1500년의 눈물
과학동아
l
201112
몸체를 만들었다. 공기보다 가벼운 헬륨가스로 가득차 있어 부력의 힘으로 하늘로 뜬다.
앞뒤
로 날아갈 때는 두 개의 전기모터를 이용한다. 2km 상공까지 올라갈 수 있고, 모형비행기처럼 RC 무선조종기로 조정한다.[➊ 갯벌의 보고 순천만. 논에 그려진 거대한 새가 인상적이다.][➋ 천연기념물 홍도. ... ...
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11
특히 관악기는 전혀 상관이 없어요. 현악기는 몸체가 음통의 역할을 겸합니다. 그래서
앞뒤
판이 현을 따라 진동하며 복합적인 주파수의 음을 만들어 내 깊고 풍부한 소리를 냅니다. 하지만 관악기의 몸체는 악기 속 공기기둥을 가두는 틀 역할만 합니다. 현악기에서는 현이 진동하면서 특정 ... ...
유산균 5형제, 면역세포 길들이다
과학동아
l
201111
인지하면 공격을 시작한다. 평소에는 잠자코 있던 면역세포지만 공격을 퍼부을 때는
앞뒤
가리지 않는다. 적을 잡아먹기도 하고, 구멍을 뚫어 죽이기도 한다. 아예 단백질분해효소를 쏴 녹여버리기도 한다. 게다가 ‘염증호르몬’을 내 싸움이 벌어진 곳으로 다른 면역세포를 더 불러 모은다.적을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11
과거로 여행하는 전자를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훨러는 우주의 모든 전자가 시간의
앞뒤
로 여러 번 오갈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리처드파인만은 시간을 거슬러 과거로 올라가는 입자를 관측할 때, 이 입자는 반입자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그렇다면 입자와 반입자가 부딪쳐서 사라지는 것은 입자가 ... ...
색종이로 만든 퍼즐 펜토미노
수학동아
l
201110
조각의 뒷면을 살펴보면, 네 방향에 모두 끼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돼 있다. 연결 부분을
앞뒤
, 좌우로 돌려 조각을 서로 끼우면 펜토미노 조각을 쉽게 만들 수 있다. 다음과 같이 12개의 펜토미노 조각을 따라 만들어 보자. 퍼즐 연구가 듀드니의 퍼즐은 소개한 방법 외에도 풀이법이 다양하다. 직접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
과학동아
l
201110
바탕으로 통계를 내는 것이다. 최근 가장 많이 연구하는 방법이다. 통계 정보에 따라
앞뒤
단어의 연결 관계나 어순을 여러 가지 경우별로 확률을 계산하면 가능성이 가장 큰 번역문을 만들 수 있다. 번역이 정확하려면 통계를 낼 수 있는 언어 쌍이 많아야 한다. 황 박사는 “구글 번역은 영어-중국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