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후
안팎
시종
주변
주위
상황
d라이브러리
"
앞뒤
"(으)로 총 46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04
비교하면 지진이 발생한 위치를 알 수 있다. 용수철이 움츠러들었다 펴졌다 하듯이
앞뒤
로 진동하며 움직이는 파동을 P파, 위아래로 출렁이는 파동을 S파라고 한다. 지진파 중 P파는 속도가 빨라 지진계에 먼저 기록된다. 그다음으로 S파가 기록되는데, 둘 사이의 시간 차를 ‘PS시’라 한다. Tip ...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
과학동아
l
201104
이미 2007년 세슘원자시계만큼 정밀한 스트론튬원자시계를 개발했다. 스트론튬 원자에
앞뒤
양옆 위아래 여섯 방향으로 레이저를 쏘아 고정시킨 다음, 안정도가 매우 높은 탐지용 레이저를 원자에 쪼이는 방식으로 스트론튬의 고유진동수를 측정해 냈다. 스트론튬 원자가 빛을 가장 강하게 낼 때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04
지상의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나이테처럼 긴 동심원을 그리며 확산되는데, 좌우 폭보다
앞뒤
방향으로 10배 더 길게 확산되는 특성이 있어 어디로 퍼질지 예측이 가능하다. 만약 오염물질이 지하수에 들어갔더라도 지형 등 환경 조건과 물의 흐름을 잘 조사해 대응하면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뜻이다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03
부품 값으로만 몇 천만 원이 우습게 들어가죠.유압식 액추에이터 방식은 실런더가 관절
앞뒤
로 붙어 움직이기 때문에 관절의 운동 형태를 사람의 근육과 유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름의 압력을 유지해야 하니 기름을 공급하는 장치, 내부 마찰로 뜨거워진 기름을 식히는 장치 등을 달고 ... ...
진정한 꿈을 찾는 기나긴 여정
과학동아
l
201103
많은 준비가 됐을까? “어릴 때부터 의사가 되고 싶었는데 노력은 하나도 하지 않았다면
앞뒤
가 안맞지. 지방에서 학교를 다니면서 이만큼 노력했다고 보여줘야 할텐데, 지방이라서 성적이 더 좋게 나오는 걸 안일하게 만족하면 안돼. 매일 뭘하고 지내는지부터 다시 점검해서 공부 계획을 세워야 ... ...
레이저 광선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1103
두 개의 빔은 이동한 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겹쳐지면서 상쇄됐다. 구멍 안에서
앞뒤
로 진동하다가 열로 변환돼 사라졌다. 연구팀은 실리콘 웨이퍼로 만든 이 장비를 ‘결맞음 완전 흡수장치(CPA)’로 명명했다.이 장비는 레이저 빛을 99.4%까지 흡수했다. 이론상으로는 99.99%까지 흡수할 수 ... ...
PART 1 미래 자전거의 4대 덕목
수학동아
l
201103
만들면 최고의 효율이 나올 거라고 생각했다.그 결과, 손잡이를 페달과 연결해 손잡이를
앞뒤
로 움직이면 그 힘이 바퀴로 전달되는 자전거가 탄생했다. 지금까지 자전거의 방향을 바꾸는 데만 쓰던 손에 새로운 역할이 부여된 것이다.손발 자전거를 타 보면 사람도 네 발 동물처럼 두 손과 두 발을 ... ...
PART 2 수학이 밝히는 자전거의 5가지 신비
수학동아
l
201103
자전거는 앞바퀴와 뒷바퀴가 확연히 다른 경우가 많다. 같은 바퀴를 쓰기도 하지만
앞뒤
바퀴의 역할은 엄연히 다르다. 앞바퀴는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하고, 뒷바퀴는 페달의 힘을 받아 자전거를 움직이는 엔진 역할을 한다. 즉 뒷바퀴에 더 많은 힘이 실린다는 뜻이다.
앞뒤
바퀴가 다르다고 해서 ... ...
혜초 따라 실크로드 걷다
과학동아
l
201102
한국에 왔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의 ‘실크로드와 둔황’ 특별전에 전시돼 있다.
앞뒤
가 잘려 일부만이 남아 있지만 글을 읽을 수 있을 만큼 잘 보존돼 있다. 혜초의 육신은 타향에 묻혔지만 그의 영혼은 약 1300년 만에 이렇게 다시 고향 땅을 밟았다. 실크로드 여행 중 만난 혜초혜초는 무슨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02
맞춘다. 근육으로 수정체의 곡률을 바꿔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사람의 눈은 수정체를
앞뒤
로 움직이거나 수정체를 여러 개 쓸 필요가 없다.이연정 경북대 전자공학부 교수는 사람의 눈과 같은 원리로 작동하는 생체모방 로봇 눈을 개발했다. 이 로봇 눈은 수정체 역할을 하는 겔형 소프트렌즈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