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많습니다. 물리
학과
는 자연과학대 전체에서도 가장 인기가 많은
학과
예요. 화
학과
와 수
학과
가 그 다음입니다.교수님의 수업은 이곳의 수업과 접근법이 꽤 다른 것 같습니다. 완전히 새로운 내용이에요. 난이도도 적당해서 너무 어렵지도 않습니다. 다만 영어에 자신이 없어서, 교수님께 질문을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수준이 7~10ppm까지 내려갔다(현재는 400ppm).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지리
학과
사이먼 루이스 교수와 마크 매슬린 교수는 ‘네이처’ 2015년 3월 11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를 1400~1600년대 시작된 동식물의 대이동을 대표할만한 기록(표준층서구역)으로 보고 1610년을 인류세의 시작이라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치열하게 듣고 싶어하는 우에스기 모토나리 화학연구소 교수의 강의를 모았다. 그는 생물
학과
화학 분야의 다양한 이론이 나온 과정을, 유명한 ‘스캠퍼(대치•결합•응용•수정•다른 용도로 사용•제거•재구성) 기법’을 기반으로 설명한다. 학생들이 이 기법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 ...
[과학뉴스] 답답하면 너도 큰 뇌를 가져보렴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동물일수록 문제해결능력이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와이오밍대 동물학및생리
학과
사라 벤슨-앰럼 교수팀은 39종의 포유류 육식동물을 대상으로 몸집과 뇌의 크기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차이를 분석하고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월 25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미국 9개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변해 지구까지 이어졌고, 라이고 관측소가 이를 놓치지 않은 것이다. 이현규 한양대 물리
학과
교수는 “이번에 발견된 중력파원의 에너지는 우주에서 가장 강하다고 알려진 감마선 폭발 현상에서 나오는 것보다 크다”며 “아마도 인류가 관측한, 빅뱅 이후 우주에서 발생한 가장 격렬한 사건들 중의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생각 자체가 비현실적이라는 주장도 있다. 서재정 일본 국제기독교대 국제정치
학과
교수는 지난해 ‘창작과비평’에 발표한 ‘사드와 한반도 군비경쟁의 질적 전환’이라는 글에서 “이런 주장은 고등학교 수준의 물리학도 이해하지 못한 무지의 소치”라고 일갈했다. 설령 북의 핵탄두가 ... ...
[Knowledge] 뼈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못하더라고요. 저는 학생 때 생각이 나서 가뿐하다고 느꼈는데(이 교수는 고고미술사
학과
출신으로 대학 때 자주 발굴 현장에 나갔다), 세월이 흘렀나 봐요.”이 교수는 대중과 활발히 소통하는 고인류학자기도 하다. 작년 출간한 책 ‘인류의 기원’은 베스트셀러가 됐다. 2년 넘게 ‘과학동아’와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번식을 하려면 에너지를 최대한 저장하기도 해야 한다.”그러나 영국 애버딘대 생물
학과
의 존 스픽맨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동물이 평소에 충분히 활달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동물의 운동이 연구되지 않은 것 같다”며 “어쨌든 동물들은 일상적인 활동만으로 충분히 건강을 유지할 수 있기 ... ...
[수학뉴스] 건강을 지키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강한 백신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를 이끈 리던 트워록 요크대 수리생물
학과
교수는 “단백질 초미세입자의 기하학적 모양을 예측하는 것은 새로운 백신을 만들 때 어떤 구조가 유리한지 알려준다”고 밝혔습니다.이 연구는 학술지 ‘생물 물리학’ 2월호에 실렸습니다 ... ...
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인간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필요해!동물실험은 인간과 비슷한 동물을 이용해 새로운 의약품이 안전한지, 특정 질병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등을 알아내는 과정이에요. 동물실험이 중요한 이유는 어떤 새로운 물질이 우리 몸에 안전한지 안전하지 않은지를 미리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에요.예를 들어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