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태어나는 현상이 관측된다.이 딜레마를 어떻게 풀어야 할까. 이석영 연세대 천문우주
학과
교수는 “별 탄생과 AGN 모두 기체를 ‘식량’으로 하는 활동”이라며 “은하가 생성된 초기에 별이 폭발적으로 만들어지다가 어느 순간 AGN이 켜졌을 수 있다”고 말했다. 거대질량 블랙홀이 만든 중력장으로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강하게 나는 걸까. 이유는 비와 관련이 있다. 정영수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
학과
연구원은 빗방울이 지표면에 닿는 순간 에어로졸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doi: 10.1038/ncomms7083).에어로졸은 기체 속에 고체 혹은 액체의 작은 방울이 분산돼 있는 것으로 먼지나 안개도 에어로졸의 ... ...
[수학뉴스] 수학 질문은 왼손잡이에게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양손을 다 쓰는 양손잡이가 가장 똑똑하다는 속설은 어떨까요?영국 리버풀대 심리
학과
지오반니 살라 교수는 어느 손을 사용하는 지와 수학 성적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6~17살 청소년 200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습니다.연구팀은 먼저 이들에게 다양한 수학 문제를 풀게 했어요. 그 뒤에 어느 ...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손과 발 하나하나의 크기가 1.3m나 돼야 한다는 얘기다.한편, 미국 스탠포드대 기계공
학과
생체모방조작연구소의 엘리엇 호크스 박사팀은 이와 전혀 상반된 연구 결과를 내놨다. 심지어 이 연구팀은 어떤 특별한 한 동물의 발을 모방해 만든 장갑을 끼고 벽을 기어오르는 데 성공했다. 바로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주관으로 논문 심사와 출판에 관한 지침을 마련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생명과
학과
의학에서 재현성 논란이 일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권위 있는 학술지 30여 개의 편집자들과 과학계 지도자, 연구비 지원 기관 사람들이 한 자리에 모여 논문을 어떻게 심사하고 출판할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를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발표했다(dx.doi.org/10.1016/j.biopsych.2015.11.027). 연구에 참여한 김지은 이화여대 뇌·인지과
학과
교수는 “신약 재창출 방식은 이미 있는 약품 자원을 활용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동물실험에서 자유롭다”며 “허혈성 뇌졸중 치료제를 필로폰 중독 청소년의 뇌손상 치료에 적용해 보는 등 다양한 연구를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이를 연구하는 것 또한 한낱 궁금증을 해결하는데 그치는 것은 아니죠. 최근 들어 심리
학과
신경과학 분야에서 간지럼을 비롯해 사람의 행동에 대한 연구가 점점 더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로봇입니다. 김성호 교수는 “간지럼은 운동과 지각의 통합과정을 밝혀 낼 수 있는 좋은 ... ...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번째 행성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행성을 찾았다.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지질·행성
학과
의 콘스탄틴 바티진과 마이클 브라운 박사팀은 태양으로부터 해왕성보다 20배나 더 먼 곳에 있는 행성 ‘플래닛 나인’을 찾았다는 연구 결과를 ‘천문학 저널’에 발표했다. 브라운 박사는 왜행성인 에리스를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이전에도 아홉 번째 혹은 열 번째 행성 후보였던 천체가 여럿 있었다. 하지만 명왕성을 비롯해 수많은 천체가 결국 행성이 아닌, 왜행성★으로 분류됐다. 일부 천문학자들은 플래닛 나인이 명왕성보다도 훨씬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 있다면 역시 왜행성일 거라고 주장한다. 플래닛 나인이 ... ...
단맛 실험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담으면 초코볼은 전체 공간의 64%밖에 채우지 못한답니다.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물리
학과
폴 채이킨 교수는 지난 2004년 초코볼이 타원형일 때 구형보다 더 공간을 많이 채울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초콜릿을 좋아해서 항상 둥근 유리 그릇에 M&M을 담아 먹었던 폴 채이킨 교수는 타원형의 M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