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방정식을 풀었더니 웬 테러리스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실없는 얘기처럼 들리지만 지난 5월 7일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미국 펜실베니아 경제학과 귀도 멘지오 교수가 실제로 겪은 일을 보도했습니다.이탈리아 출신의 멘지오 교수는 지난해 40세 이하 이탈리아 경제학자에게 주는 상인 ‘카를로알베르토상’을 받았을 만큼 촉망받는 경제학자입니다. 지난 ...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플래닛 나인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맨눈으로는 절대 볼 수 없다. 아직까지 망원경으로도 관측하지 못했다. 그 대신 해왕성을 찾아냈을 때와 비슷한 과정으로 찾아냈다. 수학으로 궤도를 먼저 계산한 것이다. 콘스탄틴 바티진과 마이클 브라운 박사팀은 세계에서 가장 큰 카메라가 달린 LSST 망원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일어날 때 양성자와 전자가 합쳐져 중성자와 중성미자가 만들어진다. 이창환 부산대 물리학과 교수는 “중성미자가 초신성 폭발의 주요한 원인인데, 폭발 에너지의 99%를 차지한다”고 말했다. 중력파만큼은 아니지만 중성미자도 물질과 거의 상호작용하지 않아 빠르게 사방으로 퍼진다. ... ...
- 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이후 바빌로니아의 60진법은 아라비아가 이어받았고, 16세기에는 유럽에도 퍼져 천문학과 수학 발전을 도왔다. 심지어 이4000년 전의 숫자 체계는 지금도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Part 2. 지도를 만들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발견한 RNA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탄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프랑스 니스소피아앙티폴리스대 다차원대칭선택분석학과 코넬리아 마이너트 연구원팀은 우주의 환경과 비슷한 저온(78K), 저압(10-10bar)의 실험실에서, 성간얼음의 구성물질인 물, 메탄올, 암모니아에 자외선 복사를 가했다. 그 결과 리보스를 비롯해 리보스와 분자식이 ... ...
- [News & Issue] 헐크가 된 야구선수들, 지난겨울의 비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동계훈련을 끝낸 선수들의 몸에는 얼마나 변화가 있을까. 이호성 단국대 스포츠의학과 교수는 2015년에 소프트볼 우수 선수 20명을 대상으로 동계훈련이 신체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 분석했다. 우선 체중은 그대로 유지되고 지방은 줄었다. 이 교수는 “약이나 식이요법을 쓸 경우 지방이 줄지만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자연계에서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는 합성생물학과 맥이 닿는다. 영화 제목인 스플라이스(splice)는 유전공학에서 ‘서로 다른 유전자를 이어 붙인다’는 뜻으로 쓰이는 용어다.합성생물학 연구자들은 영화와 달리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같은 미생물 수준을 ...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되었다. 두 지도교수가 해밀턴이 유전학자들이 많은 곳에서 연구할 수 있게끔 UCL 유전학과에도 동시에 적을 두게 한 것이다. 안 좋은 기억이 남았던 펜로즈 대신, 세드릭 스미스라는 유전학자가 UCL에서 그를 지도했다. 이렇게 런던의 두 대학에 소속된 채로 해밀턴은 3년에 걸쳐 필생의 과업과 ...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보니 제 적성과 너무 맞지 않는 거예요. 그래서 의공학으로 전공을 바꿨습니다. 보통은 학과를 선택하고 본인이 하고 싶은 공부나 연구주제를 찾는데, 그럼 저처럼 전과해야 할 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웃음). 현재 인기 있는 과나 주목 받는 분야에 너무 치우치지 말고 정말 자신이 하고 싶은 공부를 ... ...
- [과학뉴스] ‘아가미 필터’ 노하우 밝혔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아가미가 미세한 물질까지 걸러내는 원리가 밝혀졌다. 미국 윌리엄메리대 생물학과 로리 센데르손 교수팀은 신개념 필터에 적용할 수 있는 물고기 아가미의 여과 원리를 밝히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월 29일자에 발표했다. 금붕어와 고래상어 등의 어류는 아가미로 바닷물을 빨아들인 뒤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