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뉴스
"
연구실
"(으)로 총 1,729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인자동차에 출근 맡기고 통역 앱으로 바이어와 대화 술술
2015.10.16
90%에 이른다. 통역의 정확도도 80%나 된다. 김상훈 ETRI SW기반기술연구본부 자동통역
연구실
장은 “2012년 연구원에서 개발한 스마트폰 자동통역 앱 기술을 중소기업에 이전했다”며 “기술 이전 이후에도 서로 머리를 맞대고 사용자 편의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한 결과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말했다 ... ...
이 기술 하나면 나도 ‘K팝 춤 선생’
2015.10.15
있는 ‘가상 춤 선생’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김대진 포스텍 지능형미디어
연구실
교수팀은 신체관절을 3차원(3D)으로 정밀하게 추적하는 기술을 구현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진은 관절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수년간 분석해 3차원 공간에서 신체 관절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기술을 ... ...
“한때 연구보조원” 터키 의사의 인생역전기
2015.10.08
관심이 많아서 이 연구를 하고 있는 미국 텍사스대 클로드 루퍼트(Claud Rupert) 교수
연구실
의 문들 두드렸다. 광재활성화란 자외선(UV)으로 손상된 DNA에 이보다 파장이 긴 파란빛을 쪼여주면 손상이 복구되는 과정이다. 루퍼트 교수는 파란빛을 흡수해 광재활성화에 관여하는 광분해효소(photolyase)를 ... ...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09.26
받은 프랑스 몽뺄리에 2대학에서 곤충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부희 박사는 김 교수의
연구실
에 있을 때 파브르 곤충기 교정을 보기도 했으니 여러모로 곤충기와 인연이 깊다. 한 대를 더 거슬러 올라가보자. 인연이 묘하다. 김 교수의 대학원 첫 지도교수는 한국 최초의 곤충기를 쓴 조복성 고려대 ... ...
수명 100배 더 긴 스마트폰 개발 가능해졌다
2015.09.24
배까지 늘릴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현승민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역학
연구실
박사팀은 이후정 성균관대 교수진과 공동으로 실리콘과 철, 아연을 합금해 새로운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상용화된 배터리 중 가장 진보됐다는 평을 ... ...
논문에서…내 이름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09.24
저자권만 기본권은 아닙니다. 수많은 연구자들이 지금도 정당한 권리를 누리지 못하며
연구실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과학동아에서는 연구자의 기본권을 계속 다뤄나갈 예정입니다. 부당한 대우를 당한 대학원생이나 출연연 연구자분들은 이메일(here@donga.com)로 연락주세요. ※ 더 많은 ... ...
신소재 개발 청신호… 나노 소재 내부구조 처음으로 밝혔다
2015.09.23
때 나타나는 현상을 시각적으로 처음 규명했다. 최시영 재료연구소 재료설계분석
연구실
책임연구원팀은 첨단 전자현미경을 활용해 소재를 아주 작게 만들 때 발생하는 현상을 들여다보는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나노미터(1㎚=10억분의 1m)단위의 현상을 직접 관찰하는데 성공한 것은 이번이 ... ...
[2015 국정감사] KAIST, 학생 인건비 4년 새 19억 원 이상 ‘착복’
2015.09.19
인건비 2억5300만 원을 부당하게 이용했다. 출장비나 에어컨 설치비, 연구장비 구입이나
연구실
공사 진행 과정에서 허위 정산 서류를 작성하는 방법으로 돈을 가로채 사용했다. D 교수는 참여 연구원의 인건비 5억1815만 원을 일괄 관리했으며, 그중 3억9144만 원을 연구비 운영경비 등으로 사용했다.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제인 구달(오른쪽 위), 앨 고어(오른쪽 가운데), 리처드 리키(오른쪽 아래) 등 유명인들을
연구실
로 초청해 발굴을 자랑하며 사진을 남긴 버거 교수. - 리 버거 & 비트바테르스란트대 제공 ● 인류의 요람으로 뜨는 남아공 이번 호모 날레디 발표로 남아공이 고인류학의 핫스팟으로 다시금 주목을 ... ...
투명 디스플레이 개발 이끌고 환경오염도 막고
2015.09.10
측정하기 어려워 산업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김덕종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역학
연구실
박사팀은 세계 최초로 물 속에 존재하는 극미량의 은나노선 및 은나노 입자를 선별하고 농도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수용액 샘플 속에 존재하는 나노물질을 10분 간 전극에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