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뉴스
"
연구실
"(으)로 총 1,653건 검색되었습니다.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굴곡이 변한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17일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한
연구실
. 연구원이 전압을 바꾸자 지름 1cm도 안 되는 작고 둥근 투명 플라스틱 렌즈가 미세하게 부풀어 올랐다. 맨눈으로는 감지할 수 없는 수준의 아주 작은 변화였다. 그 순간 렌즈 밑에 있던 흐릿한 알파벳이 ... ...
우리 몸에 이로운 미생물이 있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4.12.10
아직도 지구상에 있는 미생물 중 일부만 알고 있을 뿐이다. 대부분의 미생물은
연구실
환경에서 자라기 힘들기 때문에 그 동안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어려웠 다. 하지만 최근 대용량 DNA 해독 장비가 개발되면서 지금껏 접근하지 못했던 미생물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을 메타지노믹스라고 ... ...
배터리 없는 ‘진정한 인공와우’ 나온다
2014.12.03
성능을 크게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허신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자연모사
연구실
책임연구원팀은 인공와우의 핵심소자인 ‘생체모사 무전원 인공기저막 소자’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소자를 이용해 인공와우를 제작하면 기존 인공와우처럼 귀 외부에 구멍을 뚫고 소형 마이크를 ... ...
한국뇌연구원 신청사 4일 준공
2014.12.03
좌뇌 건물에는
연구실
험실과 동물실험실 등 주요시설이 들어왔으며, 우뇌 건물에는 일반
연구실
과 지원시설 등이 계획돼 있다. 신청사는 축구장 7개 넓이인 5만2000㎡ 대지에 세워졌으며, 총 사업비 1221억 원 가운데 설계비를 제외한 부지매입비와 건물공사비 1196억 원을 대구시에서 전액 출연했다. ... ...
퀀텀닷 대량 생산 기술 첫 개발
2014.11.19
위조방지 인쇄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일 것으로 보인다. 김덕종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역학
연구실
박사팀은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한 기능성 소자 적용 기술을 통해 연속적으로 나노입자를 정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그동안 나노입자를 수동으로 정제하는 기술은 ... ...
“이 재료, 미사일에 쓰여서 수입 안 됩니다”
2014.11.19
0kg 이상 수출을 금지하고 있어 국산화가 시급한 상황이었다. 이동원 재료연구소 티타늄
연구실
박사팀은 지난해 티타늄 합금 분말 제조에 꼭 필요한 산소 불순물 제거 기술을 국산화하고 관련 기술을 고려용접봉에 이전했다. 이 기술은 연구팀이 2008년부터 5년 동안 개발한 것으로 진공 ... ...
[채널A] 뜨거운 기름에 물, 직접 실험해 보니…‘화염방사기’ 변신
채널A
l
2014.11.19
기름을 위로 튕겨내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 유용호/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
연구실
박사] 뜨거운 유증기가 솟구치게 되면 불이 솟구치면서 화염방사기처럼 높게 불이 커지면서 화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물은 가열하면 수증기가 돼 부피가 최고 2000배까지 커지기 때문에 아주 적은 물이라도 ... ...
우리가 제안한 OLED조명 기술 ‘국제표준’ 됐다
2014.11.11
약 47억 달러(약 5조1300억 원)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정익 ETRI 소프트인터페이스
연구실
장은 “이번 연구성과는 OLED 조명 산업을 활성화하는 한편, 차세대 조명산업의 신생태계 조성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팀은 이번 표준화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무선전원 OLED 조명 ... ...
약사를 넘어, 세계적인 독성전문가로!
동아사이언스
l
2014.11.04
020년 글로벌 톱10 안전성 평가기관으로 거듭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그녀의
연구실
에는 여성 연구원들이 많다. "뛰어난 여성 연구원들이 정말 많아요. 하지만 안타까운 점은 뛰어난 여성 연구원들을 뽑아서 교육시켜서 일하는데 결혼문제, 남자친구 교제 문제, 남편 거주지 문제 등으로 ... ...
첨단 융복합 기술의 첨병으로 불리는 3대 기계기술
2014.10.24
개성공단에 필요한 전력 모두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박성환 기계연 시스템신뢰성
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육상 발전소 건설에 필요한 시간과 공간 문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어 전력 위기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재종 나노융합기계연구본부장팀은 기존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