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뉴스
"
연구실
"(으)로 총 1,653건 검색되었습니다.
‘7080’ 대표곡 ‘연’ 발표 35년 만에 1집 앨범으로 컴백, 조진원 연세대 교수
2015.04.30
연구에 지친 몸과 마음을 위로하고 활력을 불어 넣어 주는 힘이 있다”고 말했다.
연구실
에 앉아 기타를 치다가 갑자기 새 연구 아이디어가 떠오른 적도 있다. 원래 복잡한 당 사슬을 연구해 왔지만 분자 하나로 된 당을 떠올린 것이다. 이 당의 이름은 ‘오글루낵(O-GluNAc)’. 오글루낵은 당 ... ...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04.29
길이 난 미로를 이용해 거북의 공간기억능력을 검사해 봤다. 검사를 위해 버가트 교수
연구실
의 마스코트였던 ‘모세(Moses)’라는 애칭의 젊은 암컷 붉은다리거북이 나섰다. 연구팀은 모세가 미로 내에 각각 떨어져 설치된 8개의 먹이를 길을 잃지 않고 전부 먹을 수 있는지를 확인했다. 그 결과 ... ...
필터 교체 없이 황사, 초미세먼지 제거한다
2015.04.28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방우 한국기계연구원 환경기계시스템
연구실
책임연구원팀은 실내 초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실내용 습식 공기정화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초미세먼지까지 제거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는 시중에서 이미 판매되고 있지만 ... ...
2011학번 화학과 동기 셋, ‘일’ 냈네
2015.04.22
학기를 다 썼다”며 “시뮬레이션은 전혀 해 본적이 없어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지만
연구실
석사과정 선배의 도움으로 잘 해결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밤늦게까지 열정적으로 매달리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며 “앞으로 이들과 함께 몸속에서 ... ...
“오늘 내가 아낀 전기세는 얼마?”
2015.04.01
결과, 조명에서 15%, PC에서 30%의 에너지 절감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일우 에너지IT기술
연구실
장은 “신호기 하나 가격이 1만원 이하로 전기절약을 위한 기술이기 때문에 단순하면서도 큰 비용이 들지 않도록 개발했다”며 “이전까지 공급자중심에 머무르던 에너지절약을 동기부여를 통해 ... ...
한국형 달 탐사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13
필요한 로봇이지요. 기자들은 롭해즈를 만나기 위해 박사님의
연구실
을 방문했어요.
연구실
에는 로버와 비슷한 형태의 로봇 4~5대가 놓여 있었지요. 기자들은 직접 롭해즈를 조종해 보며 조종기를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롭해즈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확인할 수 있었어요. 롭해즈는 지구 안에서 ... ...
세계 암호학 ‘핫 피플’ 된 수학도들
2015.03.13
있다. - 천정희 교수 제공 ● MS 연구진 이끌고 DNA 보안 알고리즘 개발 이 연구원과 같은
연구실
에서 한솥밥을 먹고 있는 김미란 연구원(28)은 생체정보 보안 연구 분야에서 떠오르는 샛별이다. 그는 1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 연구소 초청으로 현지에 급파됐다. 작년 내내 MS 연구진을 이끌고 개발한 ... ...
휴대용 초음파 검사기 가능해진다
2015.03.02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자연모사
연구실
송경준·허신 선임연구원 팀은 부경대 기계공학과 김제도 교수팀과 공동으로 인공구조물을 통해 음파의 경로를 제어해 음향 신호를 전원 없이 최대 10배까지 증폭하는 데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보통 소리를 ... ...
스테로이드의 유혹
과학동아
l
2015.03.01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언급한 약품 대부분은 긍정적인 효과만큼 부작용이 크다. 또
연구실
에서 확실하게 효과가 밝혀진 약품은 사실상 동화작용 스테로이드 뿐이다. 암스트롱이 사용한 에리스로포이에틴은 호흡곤란, 가슴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바이오제네시스 스캔들의 주인공인 성장호르몬은 ... ...
“청색 LED 개발에 10년, 노벨상 수상까진 25년 걸렸죠”
2015.02.26
추세라 연구 몰입도가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설날을 제외한 1년 364일
연구실
을 떠나지 않는 지독한 ‘연구 벌레’로 알려졌다. 아마노 교수는 논문의 영향력을 판단하는 학술지의 피인용 지수(IF) 등에 민감한 한국의 연구 평가 방식에도 일침을 가했다. 그는 “한국에서는 논문이 실린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