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뉴스
"
연구실
"(으)로 총 1,729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보 아빠, 25일 사이언스바캉스 온다"
동아일보
l
2015.07.13
없는 휴머노이드를 개발하느냐는 비아냥거림까지 들었다. 서글펐지만 그럴수록 발길은
연구실
로 향했다. “철저하게 몰입했죠. 지금도 학생들에게 48시간, 72시간 연구만 하라는 말을 해요. 그건 절대 시간을 뜻하는 말이 아니에요. 그만큼 몰입을 해야 자나 깨나 생각에 젖어서 연구에만 집중할 수 ... ...
빛으로 신호 주고 받는 ‘광통신 컴퓨터’ 나온다
2015.07.08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경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나노인터페이스소자
연구실
책임연구원 팀은 일반 실리콘 반도체에 기반한 광(光) 송·수신 단일 칩 개발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빛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광통신 기술은 이미 실용화 돼 있다. 현재 기술로는 통신선 한 가닥에 ... ...
美 스탠퍼드大 한국인 과학자들, 차세대 이차전지 활로 찾았다
2015.07.07
차세대 소재로 주목 받는 실리콘 물질의 비밀을 밝혀냈다. 추이 이 스탠퍼드대 교수
연구실
의 이석우 선임연구원과 이현욱 박사후연구원은 실리콘으로 만든 음극이 충·방전시 쉽게 깨지는 이유를 밝혀내고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지난달 26일자에 발표했다. 두 연구원은 모두 이번 ... ...
난소암으로 별세한 UNIST 교수의 ‘마지막 논문’
2015.07.07
의대로 유학을 가서 면역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 랠프 스타인먼 미국 록펠러대 교수
연구실
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던 2009년 UNIST 교수로 부임했다. 스타인먼 교수는 인체 면역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수지상세포를 발견한 공로로 2011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됐으나 ... ...
‘화생방실 클레오파트라’ 음성분석 해봤습니다
2015.07.03
호흡의 길이 등 기술적인 측면에서 김연우의 점수가 높았다. 충북도립대 생체신호
연구실
제공 조 교수는 “만약 김연우가 화생방실 클레오파트라라면 청중을 속이기 위해 일부러 다른 목소리로 노래를 부르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화생방실 클레오파트라는 자신의 곡이 아니라 다른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대부분은 우리나라 출전팀이 이 3개뿐인 걸로 알지만 실제로는 국민대 로봇제어
연구실
조백규 교수팀도 DRC에 출전했다. 한국계 미국인인 폴 오 미국 라스베가스 네바다주립대(UNLV) 교수팀과 공동으로 ‘팀 DRC휴보(Team DRC HUBO @ UNLV)’란 이름으로 대회에 나갔다. 휴보팀으로부터 같은 ‘DRC휴보Ⅱ’ 한 ... ...
세월호 인양 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6.30
세월호 인양에 크랩스터를 참여시킬 수 있을까. 유승열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수중로봇
연구실
박사는 “불가능하진 않지만 제약이 많다”고 말한다. 크랩스터는 바닥에 발을 디뎌야 힘을 받는 구조다. 배 옆면에 매달려서 작업하기 힘들다. 그리고 구멍을 뚫거나 용접을 하거나, 밧줄을 연결해 본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6.29
두뇌가 처리하는 정보량에 비하면 턱없이 작다. 박전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처리
연구실
장은 “사람은 초당 1.8페타바이트를 계산한다”며 “현존하는 슈퍼컴퓨터로 이 정도계산은 어림도 없다”고 말했다. 페타바이트(PB)는 1테라바이트(TB)짜리 외장하드 1000개에 해당하는 용량이다. ... ...
진드기 기르는 남자 vs. 바퀴벌레 기르는 남자
2015.06.25
잡아먹기 일쑤”라고 설명했다. 진드기와 바퀴벌레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만큼
연구실
에서는 직접 두 생물에서 사람에게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단백질을 분리 정제한 뒤 연구에 쓴다. 또 살비제(진드기를 죽이는 약) 후보물질을 찾고 살비 능력을 평가하는 연구에는 진드기를 이용하고, ... ...
킁킁, 냄새맡는 실 나왔다
2015.06.17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형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나노센서융합
연구실
박사팀은 세탁이 가능하고 감도가 뛰어난 섬유형 가스 센서 개발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진은 나일론, 면, 폴리에스터 등 기존 섬유에 분자접착제라는 기술을 적용해 차세대 전자소자로 꼽히는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