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연구입니다. 다운증후군은 정상적으로 두 개 존재해야 하는 21번 염색체가 세 개 존재해서 발생합니다. 연구팀은 세 개의 21번 염색체 중 하나에 Xist를 삽입하면 염색체가 비활성화되면서 21번 염색체가 마치 두 개인 것처럼 행동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doi:10.1038/nature12394). 아직 개체 수준에서의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비용을 감수하며 이득을 주는 협력자들과, 남들로부터 받기만 하는 무임 승차자들이 존재한다고 하자. 협력자의 전체 빈도는 50%이고, 따라서 무임승차자의 전체 빈도도 50%라고 가정한다. 전체 개체군은 여러 소집단으로 나뉘어 그 안에서만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어떤 집단에서는 협력자가 50%를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소비자들이 GMO로 만든 식품에 거부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연구팀은 자연에 이미 존재하는 효모 중에 원하는 능력을 가진 것을 찾거나, 효모에게 자연적인 돌연변이를 유도하면서 발효 능력을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맛있는 한국 빵을 찾기 위한 연구팀의 노력은 비단 효모에만 그치는 것이 ... ...
- 괴짜 수학자의 실험 일지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행렬을 포함한 계산을 거쳐 ‘고유치’라 부르는 해를 구해야 한다. 이 해가 언제나 존재한다는 사실은 바로 페론-프로베니우스 정리 덕분에 증명됐다. 해가 분명히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해를 구하기 위해 복잡한 계산도 시도할 수 있다.1994년에 게임이론에 관한 업적으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 ...
-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2013년 제52권 제2호 297-319).“아동은 성인을 주로 자신을 통제하는 존재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로봇을 중개자로 활용하면 이런 개념에서 자유로워집니다. 실제로 로봇을 ‘너의 선생님이야’라고 소개할 때보다 ‘너의 친구야’라고 말했을 때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해요.”이효신 교수는 “범죄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보장도 없고 저 사람들도 그걸 알아. 그래도 해야 하는 거지. 우주 속에서 의미있는 존재가 되기 위해.”“여울 소리의 친구들은 시간 발전소 인공지능을 이용해 직접 초기 조건을 통제할 수 있는 신의 씨앗을 만들려고 해. 그걸 모두 알고 있다고? 그런데 시정부는 신경도 쓰지 않는다고?”“어차피 ... ...
- [매스미디어]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 2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이 여섯 개의 돌은 하나하나가 무한에 가까운 힘을 가지고 있다. 우주가 탄생하기 전부터 존재했다거나 이터니티, 엔트로피, 인피니티, 데스라는 우주의 신이 만들었다는 말도 있다. 팬들은 앞으로 나올 어벤져스 시리즈에서 악당 중 최고봉인 타노스가 여섯 개의 돌을 모아 우주의 반을 파괴할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역사였던 셈. 영국의 전투기 조종사 세실 아서 루이스는 “포커 전투기는 수수께끼 같은 존재가 돼 갔다. 이 전투기의 공격을 받고 살아 돌아와 실상을 전해 준 이가 거의 없었으니까”라고 했다. 1940년대에 군용기는 절정을 이루는데, 언뜻 보기에도 전보다 튼튼해졌고 폭탄을 실어 퉁퉁해졌다.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이 거의 생산되지 않으니, 소식을 한 것처럼 칼로리 제한 효과를 가진다.여기에는 반론도 존재한다. 대부분의 칼로리 제한 실험이 실험실 내의 제한된 환경에서 살고 있는 동물을 대상으로 이뤄져 왔기 때문에, 개방공간에서 사는 인간에게도 같은 효과를 보일 것인지에 대해 확신할 수 없다는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바꿀까, 안 바꿀까 그것이 문제로다!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국민대에서 과학철학과 논리학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언어와 사고의 기원, 양자역학의 존재론 등을 주로 연구합니다.사라가 노란 상자를 고른 이유노란 상자가 비었다는 정보의 가치는 문제를 낸 사라가 처한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사라는 노란 상자를 열어 보였는데, 왜 하필 노란 상자를 ... ...
이전149150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