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독감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중한 종류의 HA와 한 종류의 NA를 갖고 있답니다. 즉, 총 198종류의 독감 바이러스가 존재할 수 있는 거예요.각각의 바이러스들은 생긴 모양이 모두 달라서 이들을 막기 위해서는 198종류의 방어막이 필요해요. 하지만 우리 몸은 모든 종류의 방어막을 갖고 있진 않아요. 그래서 백신을 맞아 그때그때 ... ...
- [Info] “ 인플루엔자, 대비만 잘하면 위험한 존재 아냐”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종류는 어떻게 결정하냐”는 질문부터 “인플루엔자가 인류에게 적이기만 한 존재냐”는 질문까지 폭넓은 질문과 답이 오고 갔다. 김 교수는 강의를 마친 뒤 “학생들의 관심이 대단하다”며 “과학에 관심 있는 이들과 진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특별한 시간이었다”고 말했다.과학동아 ...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집단 선택론 설명은 자연히 기각된다는 것이다.요약하자. 조지 윌리엄스는 개체군 내에 존재하는 대립유전자들 사이의 선택이 복잡하고 정교한 적응을 만든다는 사실을 확립했다. 적응에 대한 엄밀한 과학적 탐구를 기능하게 한 그는 ‘적응과 자연 선택’을 이렇게 마무리했다. “나는 자연 선택 ...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지역은 빙하가 녹아 사라진 지 아주 오래된 지역부터 가장 최근에 노출된 토양이 함께 존재한다. 따라서 시간에 따른 생태계의 변화를 연구하기에 아주 적합한 조건이다. 필자의 연구팀은 이곳의 식생과 토양의 유기물 발달, 그에 따른 미생물 변화를 연구하고 있다.현장 조사는 아주 정직하게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두 공주가 확률에 갇혔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지금부터입니다. 동전을 던지기 전에 시리 A는 꺼두고, 월요일에는 시리 A든 시리 B든 존재하는 모든 시리를 켤 것입니다. 이 실험 내용은 두 시리의 내장 기억장치에 각각 저장됐으며, 언제든지 이 정보를 꺼내 확률을 계산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월요일에 켜진 시리는 ‘자신이 시리 ... ...
- [포토뉴스] 쓰레기통으로 목성의 대기 흐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뤄진 목성 내부에도 존재하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만약 내부에도 제트기류가 존재한다면 목성의 내부 구조를 밝힐 단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목성의 제트기류는 규모가 크고 속도가 너무 빨라서 주로 관측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만 연구하고 있었다. 미국 UCLA 지구및행성우주과학과 ...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것이다. 특히 급성 충수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충수 주위의 림프 조직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면역 글로불린 A(IgA)와 뮤신 단백질이 장내미생물의 성장을 돕는다는 사실도 밝혀냈다(doi:10.1016/j.jtbi.2007.08.032). 파커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건강한 장내미생물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 ...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마음을 받아주면서 사랑해주기까지 하는 강아지는 이제 많은 가정에서 떨어질 수 없는 존재가 됐습니다. 새로운 식구로 인정하고 애정을 갖고 끝까지 서로를 지켜가는 반려가족이 되길 바랍니다 ...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가구식’으로 건물을 짓는다. 가구식 건물이 안전한 이유는 부재 사이에 틈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지진으로 인한 땅의 충격에너지가 결합 부위의 틈에서 열에너지로 방출되면서 큰 피해를 막을 수 있다.조립식이니 건축 시간도 짧다. 실제로 전 교수는 2008년 수업 시간을 이용해 학생들과 한옥을 ...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멤리스터를 구현하는 연구를 했던 김태희 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는 “멤리스터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원인에서 유발되는 자기저항현상(자기장에 의해 저항이 변하는 현상)인지, 전하량의 변화에 의한 것인지 구분하기가 어려워 실험적으로 증명하기가 까다롭다”며 “M 값이 큰 물질이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