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위잉~! 꿀벌의 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해 봐요~, 이렇게♬꿀벌은 생태계가 유지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존재예요. 여러 꽃을 다니며 꿀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수술에 있는 꽃가루를 다른 꽃의 암술에 묻혀 주는 ‘화분매개자’거든요. 화분매개자 덕분에 식물이 씨를 뿌리고 열매를 맺을 수 있으며, 다른 동물이 열매를 먹고 살 수 있답니다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6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달 만에 다시 에디터토크를 준비했습니다. 이젠 다들 아시죠? 편집장 머리에만 존재하는 가상현실입니다. 1 먼저 특집을 빼놓을 수 없겠죠. 최지원 기자 나왔습니다.편집장(이하 편) : 과학수사는 과학잡지에서 수도 없이 우려먹은 사골템인데, ‘이것이 다르다’라고 말할 만한 게 있는지?최지원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필자의 연구팀은 WINDII가 수집한 다양한 파동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지구 대기에 존재하는 대기조석(대기권의 지구 규모의 주기적 진동)이나 대기중량파(고고도 대기에 잔물결을 일으키는 파동) 같은 다양한 파동이 종횡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들 파동은 대부분 낮은 고도의 ...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집 안에 구성원을 밝힐 수 있다고 발표했다(doi:10.1098/rspb.2015.1139). 모든 사람의 피부에 존재하는 더마박터(Dermabacter ),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 등의 세균들은 성별에 따라 비율이 달라진다. 고양이나 강아지가 특이적으로 가지고 있는 세균이 있고, 또 사람이나 반려동물 모두 실내에서 주로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사건의 경우 살인을 증명하기가 매우 어렵다. 피해자가 사망했다는 완벽한 정황증거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피고인은 무죄로 풀려날 확률이 매우 높다.적은 양으로도 조직을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면 살인 현장을 재구성하는 것이 좀 더 수월해질 것이다(룬디 살인사건을 보면 알 수 있다).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지원자는 경연을 통해 갈고닦은 랩 실력을 맘껏 뽐내며 대중과 다른 래퍼들에게 자신의 존재감을 확실히 알린다.래퍼들은 방송에 출연하기보다 주로 작은 클럽과 공연장에서 활동하고, 이것을 특유의 문화로 생각하기 때문에 쇼미더머니를 부정적으로 보기도 했다. 하지만 국내 1세대 래퍼이자 ... ...
- [과학뉴스] 거대한 인공 태양이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제논은 헬륨과 네온, 아르곤처럼 색과 냄새, 맛이 없고 상온에서 안정적인 기체로 존재해요. 태양과 비슷하게 강하고 밝은 빛을 내서 공연장의 조명과 자동차 전조등뿐만 아니라 인공 태양광 램프에도 사용되고 있지요.이 장치를 켜면, 149개의 램프들은 20x20cm 크기의 한곳으로 빛을 모아요. 낮과 밤,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자본의 대가로 비트코인을 받고 이를 종이 화폐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이 가상화폐가 존재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다.그럼 비트코인은 어떻게 신뢰성을 확보할까. 거래 내역이 담긴 블록이 만들어지면, 이 블록의 정보(해시 값)는 그 다음에 만들어지는 블록에 저장된다. 마치 레고를 쌓아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벌이고 있습니다. 이곳에 우리가 들어간다면 어찌 될까요. 과연 우리 같은 작고 연약한 존재가 그 전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상관 없습니다.”“상관이 없다니요. 한쪽 생명체가 완전한 승리를 이루든지 아니면 어떤 평형상태에 도달하기까지 우리는 이 행성에서 살지 못합니다. ... ...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사실에서 출발해요. CIE는 영국인 17명을 대상으로 R, G, B를 조합해 나온 색과 자연에 존재하는 색이 언제 같게 보이는지 데이터를 모았습니다. 그 결과 색을 X, Y, Z라는 세 숫자로 표현할 수 있게 됐습니다. 색을 숫자에 대응시킨 것이지요.이렇게 양이 적고 편차가 큰 데이터로 만든 색공간이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