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프리미엄 리포트] 2017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대중의 이런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2012년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 입자의 존재가 공식적으로 확인되고 이듬해 물리학상이 주어진 것과 비슷한 패턴이다. 중력파는 2015년 9월 처음 관측된 이후 2016년 발견이 공식적으로 인정됐고, 올해 물리학상 수상에 성공했다.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이후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포함해 LMB의 모든 문화와 시설, 조직은 연구자 사이의 네트워크를 견고하게 다지기 위해 존재한다”며 “그룹별로 정해진 연구 예산은 따로 없고 모든 그룹이 필요한 만큼 나눠 쓰기 때문에 협력 연구에 장벽이 없다”고 말했다. 협업의 결과가 여러 차례 노벨상 업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직접 경험한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제압하지 못할 정도는 아닙니다. 그러나 셋이 모이면 현재의 과학기술을 뛰어넘는 존재가 됩니다. 이곳은 요새이자 감옥이죠. 여기에 있으면 붙잡혀 생체실험을 당할 걱정 없이 자유롭게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밖에 못하죠. 솔직히 이제는 이 상황을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 ...
- [과학뉴스] ‘뇌 하수구’로 치매 해결책 찾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버리는 현상을 최초로 발견했다”면서 “특히 지금까지 의학계에는 뇌에 림프관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다발성 경화증이나 다른 신경염증질환이 뇌에 있는 림프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결과인지 등을 연구할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백두산을 연구해온 화산학자다. 2016년에는 북한 측 백두산 지하에 용융 상태의 마그마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4월 15일자에 발표했다. 오펜하이머 교수는 “(북한의 6차 핵실험 직후) 전 세계 언론으로부터 북한의 핵실험이 백두산 분화에 영향을 미칠지 묻는 ... ...
- [Culture] 트라우마 극복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겨낼 수 있는 이유는, 자기 마음을 반복적으로 돌아보면서 끔찍한 기억이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허상’이라는 점을 서서히 깨닫게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실제와 허상을 구분하는 일만으로도 마음과 정신이 치유된다. 더 나아가 명상을 통해 사건 사고를 겪기 전보다 정신이 훨씬 건강하고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않아, 최근까지도 정답의 상수 배 이내의 답을 알려주는 알고리듬이 있기나 한 건지, 그 존재조차 미해결 문제였습니다. 그러던 2017년 8월, 올라 스벤손 스위스 로잔 연방공과대학교 교수와 지도 학생인 야쿠프 타르나프스키, 라슬로 베그흐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교 교수가 이 문제를 해결한 3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X의 탄생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강한 지하국대적을 없애기 위해서는 한 가지가 더 필요했다. 신이 인간을 돕기 위해 만든 존재이자 귀신도 인간도 아닌 것. 바로 도깨비 ‘신비’였다. 신비가 희생한 결과 하리 남매와 친구들은 지하국대적을 물리친다. 그 뒤로 신비아파트에는 더 이상 귀신이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고스트볼X의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연구팀은 유전자 교정을 진행한 6개 배아줄기세포주 중 2개에서만 부계 유전자가 존재함을 보였다”며 “연구팀이 처녀생식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데이터를 해석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미탈리포프 교수팀의 태도는 강경하다. 박 연구위원은 “사람의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진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박테리아에서부터 인간에 이르기까지 지구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생명체는 이런 24시간주기의 환경 변화를 예측해 적응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24시간 주기의 생체시계 유전자를 유지해 온 것이다. 이에 따라 모든 생명체는 다양한 생리 작용을 하루 중 특정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