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밖에 안 되는 매우 작고 차가운 별로, 외계행성의 표면 온도가 명왕성보다 낮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에 참여한 천문연 앤드루 굴드 박사는 “이 연구를 통해 지구와 같은 행성이 매우 다양한 환경에서 형성될 수 있음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 ...
- [과학뉴스] 남극의 ‘피의 폭포’ 미스터리 풀리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발표했다. 연구팀은 빙하에 음파를 쏜 뒤 돌아오는 반향을 분석해 빙하 아래 있는 물의 존재를 발견했다. UAF 크리스티나 카르 연구원(박사과정)은 “빙하 주변에서 안테나를 격자 모양으로 움직여, 마치 박쥐가 초음파를 이용해 주변을 보는 것처럼 얼음 안에 있는 물을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doi: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적은 양이다. 하지만 이 연구들은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다양한 곤충이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애벌레들이 플라스틱을 먹어 없앨 수 있으니, 플라스틱 쓰레기를 없애기 위해 애벌레들을 대량으로 사육해야 할까. 그렇지는 않다. 애벌레로부터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박테리아나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있었는지 등은 알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이 병원균이 특정 지역에만 예외적으로 존재하는 게 아닐 가능성도 있다는 뜻이다. 이미 반세기 전에 발견한 항생물질인 콜리스틴은 독성 때문에 사용이 제한됐으나, 세균과 만난 횟수가 다른 약제에 비해 적었던 만큼 항균능력이 뛰어나다는 평을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캔서’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암의 서브클론 사이엔 ‘양성·음성의 상호작용’이 존재한다(doi:10.1038/nrc3971).양성 상호작용에는 편리공생과 상리공생, 동반상승효과가 있다. 편리공생은 한 클론이 일방적으로 다른 클론으로부터 이득을 보는 관계다. 한 클론에서 성장인자, 사이토카인(면역계를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엠머밀과 스펠트밀, 호라산밀 등이 꼽힌다. 이 중 엠머밀은 지금은 더 이상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 대신 이 밀에서 파스타와 스파게티의 주 재료인 듀럼밀이 유래했다. 일명 ‘건강한 밀’로 불리는 호라산밀은 미국의 한 업체가 대량생산해 ‘카무트밀’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다. 이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소비자들이 GMO로 만든 식품에 거부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연구팀은 자연에 이미 존재하는 효모 중에 원하는 능력을 가진 것을 찾거나, 효모에게 자연적인 돌연변이를 유도하면서 발효 능력을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맛있는 한국 빵을 찾기 위한 연구팀의 노력은 비단 효모에만 그치는 것이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나트 보스가 논문을 한 편 작성했다. 당시 기술로는 만들 수 없는, 상상과 방정식 속에 존재하는 신비로운 물질에 대한 것이었다. 그는 논문을 왕립학회에 제출했지만 거절 당했고, 다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게 보냈다. 신의 한 수란 이런 것일까. 아인슈타인은 논문의 진가를 한눈에 알아보고는 ...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넣는 유산균(락토바실러스)은 포도당을 분해해 85% 이상 젖산을 만들지만, 자연에 존재하는 유산균(락토바실러스와 루코노스톡)은 젖산 외에도 휘발성 물질인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만든다. 휘발성 물질과 기체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풍미를 많이 낸다는 뜻이다.또한 발효종을 넣은 빵은 오랫동안 ... ...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킬 스위치였던 셈이다. 곧 이를 보완한 워너크라이 2.0이 배포됐지만, 이미 세계적으로 존재가 알려진 뒤라 전파 속도는 현저히 줄어들었다. 김 연구원은 “만약 실수로 킬 스위치를 만든 것이라면 정말 아마추어가 뒷걸음 치다 쥐 잡은 격이고, 일부러 넣었다면 진짜 목적에 대해 해석할 여지가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