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지난해에는 역시 복제 개인 보나 사이에 새끼도 낳았죠. 스너피를 보러 가실까요?”건물
옆
잔디밭으로 털이 시커먼 아프간하운드가 껑충껑충 걸어온다. 그 뒤로 털 빛깔이 짙은 베이지색인 강아지라고 하기엔 좀 큰 아프간하운드 2마리가 보인다. 생후 6개월째 되는 스너피 새끼들로 털 색깔은 ... ...
성공하는 과학관의 7가지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비스듬하게 만들어 물과 전기 사용량을 절반 이상 줄였다는 설명도 덧붙였다.센터 본관
옆
에는 환경친화와 에너지절약 기술로 채워진 ‘EU하우스’가 관람객을 기다린다. ‘E’는 ‘환경’(Eco), ‘U’는 누구나 쓰기 편한 디자인이라는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약자다. 야스히로 씨는 ... ...
과학으로 본 우리 배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배 밑 저판에 5재(材, 목재를 세는 단위)의 두터운 목재를
옆
으로 나란히 잇댄 다음, 목재
옆
구리에 구멍을 내 사각형의 긴 나무못(장쇠)으로 연결한 전형적인 평저형 한선이다. 가장 눈에 띄는 구조는 저판과 외판 사이에 끼워 넣은 커다란 ㄴ자형 목재다. 이를 ‘만곡종통재’라 한다. 맨 바깥쪽 저판 ... ...
방귀대장 소돌이의 탄소마을 구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주었기 때문이에요. 온실가스를 없애기 위해 노력하는 제 모습에 감동했다며 이제 늘 제
옆
에서 저와 함께 지내기로 약속했답니다.언제 우리 마을에 놀러 오세요. 태양열을 이용해 데운 따뜻한 방에서 함께 이야기를 나눠요. 기다릴게요. 안녕~ ... ...
망원경, 크기를 향한 무한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쓴 책 ‘망원경으로 떠나는 400년의 여행’ 중 일부다.멀리 떨어져 있는 사물을 바로
옆
에서 보는 것처럼 만들어주는 신비한 힘을 가진 망원경. 요물단지 같은 망원경이 처음 만들어지자 사람들은 전쟁에 활용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적군이 뭘 하고 있는지 알면 승리할 방법이 생길 테니까. 하지만 ... ...
휴머노이드와 사랑에 빠진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노트를 찍은 사진을 보여줬다. 거기엔 로봇 과학자가 되겠다는 다짐이 길게 적혀 있었고,
옆
에는 로봇 그림이 그려 있었다.“중학교 때 한번은 만화에 나오는 레이저총을 만들고 싶어서 대학 전공서를 뒤적이며 레이저 시스템을 만들었어요. 거기엔 값비싼 루비가 들어가야 하는데, 어머니의 ... ...
퍼져라~! 행복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논문에서, 남을 위해 돈을 쓴 사람의 행복도가 자기를 위해 쓴 사람보다 높음을 밝혔다.
옆
사람의 행복이 곧 나의 행복이라는 사실이 증명된 것이다.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영국 워릭대학교 앤드류 오스발트 교수는 2002년 결혼 등 일상 생활이 주는 행복을 돈으로 대신할 경우 얼마의 돈이 ... ...
[생 물]신경전달 과정과 평형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흥분이 일어났을 때 막 안팎의 전위차를 활동 전위라 한다. 유입된 나트륨이온이
옆
으로 확산돼 연속적으로 탈분극이 일어난다. 탈분극이 일어난 직후 축색돌기 내부의 칼륨이온이 밖으로 확산되는데 이때 밖으로 나간 칼륨이온과 내부의 나트륨이온이 교환돼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현상이 ... ...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에서 최초로 위석(胃石)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원시 각룡류 야마케라톱스(Yamaceratops), 그리고 공룡알 둥지를 발굴했다. 특히 캠프 바로
옆
에서 용각류 화석지를 발견했는데 비록 머리뼈는 찾지 못했지만 몸뼈가 거의 온전히 보존돼 있었다. 이 용각류뼈들을 분리해 총 32개의 크고 작은 석고재킷을 만들었다. 바얀시리층에서는 지금까지 어떠한 ... ...
[생물학]세계에서 가장 긴 곤충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추정하고 있다.신종 대벌레의 알도 발견됐는데 단풍나무 씨앗처럼 날개 같은 구조가 양
옆
에 달려 있어 바람에 날려 퍼질 수 있는 형태다. 베칼로니 박사는 “많은 놀라운 곤충들이 우리가 학명을 붙여주기도 전에 서식지 파괴로 사라지는 현실이 서글프다”며 열대우림 보호를 강조했다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