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개과천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말했다. 산책을 하면서 목줄을 끌어도 개가 오지 않으려고 버틸 경우에도 주인이 개
옆
으로 움직여서는 안 된다. ‘이리와’라고 말하며 가볍게 목줄을 당겨 개가 주인 곁으로 오도록 훈련시키면 서열을 바로잡을 수 있다. ‘상근이 아빠’ 이웅종 소장의 개와 함께 사는 법KBS ‘1박 2일’ ... ...
휴머노이드와 사랑에 빠진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노트를 찍은 사진을 보여줬다. 거기엔 로봇 과학자가 되겠다는 다짐이 길게 적혀 있었고,
옆
에는 로봇 그림이 그려 있었다.“중학교 때 한번은 만화에 나오는 레이저총을 만들고 싶어서 대학 전공서를 뒤적이며 레이저 시스템을 만들었어요. 거기엔 값비싼 루비가 들어가야 하는데, 어머니의 ... ...
망원경, 크기를 향한 무한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쓴 책 ‘망원경으로 떠나는 400년의 여행’ 중 일부다.멀리 떨어져 있는 사물을 바로
옆
에서 보는 것처럼 만들어주는 신비한 힘을 가진 망원경. 요물단지 같은 망원경이 처음 만들어지자 사람들은 전쟁에 활용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적군이 뭘 하고 있는지 알면 승리할 방법이 생길 테니까. 하지만 ... ...
[생 물]신경전달 과정과 평형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흥분이 일어났을 때 막 안팎의 전위차를 활동 전위라 한다. 유입된 나트륨이온이
옆
으로 확산돼 연속적으로 탈분극이 일어난다. 탈분극이 일어난 직후 축색돌기 내부의 칼륨이온이 밖으로 확산되는데 이때 밖으로 나간 칼륨이온과 내부의 나트륨이온이 교환돼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현상이 ... ...
내 공룡 친구는 어디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몸통에서 다리가 곧게 뻗었는지 관찰하는 거죠. 바다악어를 보면 다리가 구부러져
옆
으로 뻗어 나왔고 수장룡은 다리가 노처럼 변했어요. 이런 중생대의 파충류는 공룡이 아니에요. 곧게 뻗은 다리를 가져야 공룡이랍니다. 2 초식일까 육식일까?공룡이 맞다면 이번엔 어떤 먹이를 먹었는지 아는 ... ...
쏴아아아~ 강이 거꾸로 흐른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피해를 입게 됩니다.”닥터고글이 논 주변을 둘러보며 말을 잇는다.“이거참 씨 논
옆
을 흐르는 강의 물길이 갑자기 좁아지고 있어요. 이 때문에 밀물 때바닷물의 흐름이 더 빨라져요. 그 결과 상류 쪽으로 엄청난 속도로 흐르게 되어 논으로도 바닷물이 흘러들었던 겁니다. 게다가 논에 물길을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알 수 없는 물질이 움직이는 모습이 보인다. 하지만 위로 솟아오를 뿐 아니라 비스듬하게
옆
으로 움직이기도 한다. 만약 물 속이라면 전부 위로 움직였을 것이다. 게다가 중국 우주선에는 우주인이 드나드는 통로인 에어록이 없어 문을 열면 바로 조종실과 연결된다. 따라서 조종실 안에 있던 물체가 ... ...
샤랄라~, 요정이 춤을 춘 흔적이 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못하기도 한답니다.”닥터고글의 설명을 들은 허망상 씨는 자리에 털썩 주저앉는다. 이때
옆
에 있던 수피아 양은 허망상씨를 더욱 좌절하게 만드는 질문을 하는데….“흠~, 그럼 잔디밭에 생긴 페어리링을 없애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죠?”사건 해결 - 다시 찾은 요정!닥터고글은 허망상 씨의 ... ...
꿈꾸는 로봇들의 축제, 로보월드 2008!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가장 처음 본 광경은 거미를 닮은 로봇이 집단으로 춤을 추는 모습이었어요! 그리고 그
옆
에 펭귄이나 강아지를 닮은 로봇이 있었고요. 로봇은 동물을 닮아도 되는 걸까요? 우선 이 로봇들의 말을 들어 봐야겠어요. 거미 로봇로봇이라고 다 사람 모양을 닮아야 하는 것은 아니에요. 저는 거미를 ... ...
양어장은 움직이는 거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자유롭게 떠다니게 될 전망입니다. 최근 미국 MIT대학교의 연구팀은 지름 19m 크기에 양
옆
에는 프로펠러가 달린 양어장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양어장은 평소에는 물의 흐름에 따라 움직이다가 너무 멀리 떠내려가면 프로펠러를 이용해 제자리로 돌아와요. GPS 수신기와 자동 경로 변경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