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옆"(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어장은 움직이는 거야~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9호
- 자유롭게 떠다니게 될 전망입니다. 최근 미국 MIT대학교의 연구팀은 지름 19m 크기에 양 옆에는 프로펠러가 달린 양어장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양어장은 평소에는 물의 흐름에 따라 움직이다가 너무 멀리 떠내려가면 프로펠러를 이용해 제자리로 돌아와요. GPS 수신기와 자동 경로 변경 ... ...
- 2020, 똑똑한 고속도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8호
- 있어야겠지?충돌 방지 장치운전 중 앞에 있는 차가 너무 가까워지면 경고음을 울린다. 양 옆으로 다가오는 차량이 있을 경우나 차선을 침범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경고음을 울린다. 경고음에 그치지 않고 직접 자동차의 움직임을 조절해 항상 안전한 간격을 저절로 유지하도록 도와 줄 수도있다 ... ...
- 밀가루가 폭탄이 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7호
- 커피가루, 콩가루 등은 조건만 맞으면 모두 폭발할수 있는 위험을 갖고 있어요.”옆에 있던 백설귀 씨가 웃음을 터뜨린다.“우하핫! 콩가루 폭탄이라니…. 왠지 웃겨요.”그 소리를 들은 닥터고글은 그 어느 때보다 진지한 표정으로 백설귀 씨에게 말한다.“가루 때문에 일어나는 이런 폭발은 ...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4호
- 것들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는지 궁금하다고? 나를 예로 들어 볼게.나, 존도리 소나무는 옆으로 누워 있는 독특한 모양과 내가 살던 경북 문경 존도리를 대표하는 상징성 덕분에 천연기념물이 되었단다. 어때? 생각해 보니 나처럼 생긴 나무, 본 적 없지? 나뿐만 아니라 많은 나무들이천연기념물로 ... ...
- 뻘뻘~ 비석이 땀을 흘린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4호
- 맺혀야 하는 거 아닌가?비명대사의 질문에 닥터고글의 말문이 막힌다. 그 때 표충비 옆에 놓인 습도계가 눈에 들어온다.“비명대사님, 이 표충비가 언제 땀을 흘렸죠?”“가만있자…, 1975~1993년 사이에 표충비는 땀을 35회 흘렸다네. 각 계절과 횟수는 봄 6회, 여름 1회, 가을 9회, 겨울 19회였지. 겨울 ...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과학동아 l2008년 12호
- 두면 저쪽에서 일하고 있는 5명의 인부가 죽는다. 그들을 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옆에 서 있는 동료 인부를 철로로 밀어 철도운반차를 막는 것. 5명을 구하기 위해 동료 인부를 밀어 죽게 하겠는가?두 상황은 ‘5명을 살리기 위해 1명을 희생할 것인가’를 묻는다는 점에서 같다. 하지만 그린 ... ...
- 소금이 제설제로 쓰이는 이유과학동아 l2008년 12호
- 비해 날카롭기 때문이다. 염화나트륨은 나트륨이온(Na+)과 염소이온(Cl-)이 아래 위 양 옆으로 연결돼 놀이터에 있는 정글짐 모양의 결정을 이룬다. 현미경으로 보면 정육면체 모양이다. 색깔로도 소금과 설탕을 구별한다. 같은 흰색 가루라 어려울 것 같지만 확실히 구별된다. 재료를 구하기 쉬운 ...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과학동아 l2008년 12호
- 주변으로 뻗는 번개를 보면서 탄성을 지르지 않을 수 없었다.나는 호들갑을 떨며 옆에 있던 동료 우주인을 불러 신기한 현상을 볼 것을 권했다. 하지만 이미 몇 번의 ISS 체류 경험이 있고, 당시 6개월 동안 ISS에 머물고 있던 러시아 우주인 유리 말렌첸코는 “가끔 볼 때가 있다”며 여유를 부렸다 ... ...
- 예수 탄생 기념하는 세계인의 축제 마당과학동아 l2008년 12호
- 동굴 외양간 위에는 현재 예수탄생교회가 서있다. 이 유서 깊은 예수 탄생교회 바로 옆엔 성 캐더린 교회가 있다. 근대식 성당으로 1881년 성 프란시스코 수도사들이 세운 가톨릭 교회다. 벽면은 흰색으로 성단 안에서 은은히 울려 퍼지는 성가는 순례자의 마음을 평화롭게 한다. 베들레헴 성탄 자정 ...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과학동아 l2008년 12호
- 버리고 새로 고민했다. 이 작가는 여관에 숙소를 정하고 센터에 출근하면서 허 교수 옆에 붙어 시나리오 작업을 했다.“다큐니까 논문에 나온 내용처럼 과학적 사실에 근거해 스토리라인을 잘 잡아야 한다는 걸 원칙으로 삼았죠. 연구원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으니까 4~5명이 함께 모여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