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 별은 얼마나 많을까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고이 잠들어 있노라고.”주인공 ‘나’에게 양식을 갖다 주러 왔다가 돌아가지 못하고
옆
에서 밤을 지내게 된 스테파네트 아가씨와의 이야기를 담은 알퐁스 도데의 단편소설 ‘별’의 마지막 부분이다. 도데가 현대 작가라면 아마 ‘별’ 같은 소설을 쓰지 못했을 것이다. 사실 요즘 웬만한 도시의 ... ...
세계일주를 함께 할 조수는?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가며 놓는데, 새로운 말은 반드시 말과 말 사이에 놓아야 하오. 그리고 새로 놓는 말의 양
옆
에 있는 두 개의 말은 가지고 가야 하는 규칙이 있소. 더이상 말을 놓을 곳이 없게 만들면 이긴다고 할 때, 이 고누판 어느 곳에 말을 놓아야 단 한 번에 이기겠소?"허풍이 문제를 내자 사람들은 서로 먼저 ... ...
달 착륙 증거 찾았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이글 호는 사진에서 아주 작은 흰 점으로 보여 정확히 알아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흰 점
옆
에 그림자가 유독 길게 늘어져 있어 이 점이 주변과 비슷한 지형이 아닌 특별한 물체임을 알 수 있다.LRO는 이 밖에도 아폴로 14, 15, 16, 17호가 착륙했던 지점도 촬영했다. 이들도 아폴로11호와 마찬가지로 각각 ... ...
1박 2일 캠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3시간을 달려 도착한 강원도의 한 캠핑장. 한적한 곳에 자리를 잡고 짐을 풀었다. 바로
옆
에서 한 가족이 텐트를 설치하고 있었다. 힐끗 살펴보니 캠핑카에 각종 장비까지 두루 갖춘 모습이 말로만 듣던 ‘캠핑 고수’임에 틀림이 없었다. “혼자 오셨나 봐요?” 가족 중 아버지로 보이는 아저씨가 ... ...
노벨상 수상자가 말하는 과학의 가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뜻이다. 게는 바닷가에 구덩이를 여러 개 파놓고 그 안을 헤집으며 다닌다. 암세포가
옆
조직으로 파고들어 가는 모습이나 혈관을 타고 먼 조직까지 헤집고 다니며 암을 전이시키는 현상은 게와 많이 닮았다.교과서로 배우는 생물학이 지루하거나 신문의 의학과 과학기사를 더 잘 이해하고 싶은 ... ...
'친구 따라 강남 가는' 잔가시고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이번에는 먹이의 양을 반대로 넣고 두 번째 물고기 그룹을 넣었다. 첫 번째 그룹은
옆
수조에서 두 번째 그룹이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게 했다. 두 번째 그룹도 첫 번째 그룹과 마찬가지로 두 칸을 오가다가 먹이가 더 많은 쪽으로 몰렸다.연구팀은 두 번째 그룹을 꺼낸 뒤 다시 첫 번째 그룹을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가깝기 때문에 항상 붙어 다닌다. 역병 저항성 유전자가 새로운 품종에 삽입되면 바로
옆
에 있는 이 유전자도 함께 들어간다는 뜻이다.바로 이 유전자가 ‘분자표지’다. 분자표지가 있으면 고추를 실제로 재배하지 않고 어릴 때 한 번의 유전자 검사만으로 새로운 형질(역병 저항성)을 얻었는지를 ... ...
봉황의 오색 울음소리 생황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다른 국악기와 달리 하모니카처럼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 소리가 난다. 바가지나 금속통
옆
으로 길게 나온 취구로 숨을 들이쉬고 내쉬며 대나무 관 아래쪽에 뚫린 지공(指孔)을 손가락으로 막는다.지공을 막으면 관 속에 있는 쇳조각인 ‘쇠청’이 울려 소리가 나고 열면 소리가 나지 않는다. 쇠청은 ... ...
북한 로켓 발사 소동 위성인가, 미사일인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우주를 비행하는 로켓은 공기 속에 포함된 산소를 이용할 수 없어요. 그래서 연료 탱크
옆
에 산소 탱크를 따로 만들어서 그 산소로 연료를 태워 추진력을 얻어야 한답니다. 이런 기관을 ‘로켓 엔진’이라고 하는데, 로켓은 바로 로켓 엔진을 가진 비행체예요.그런데 로켓은 이용하는 목적에 따라 두 ... ...
여름밤 당신의 뇌파는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잠을 쉽게 깨지 않게 한다고 보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실제로 자는 사람
옆
에서 이름을 부르거나 물건을 떨어뜨려 큰 소리를 내면 뇌파에서 K-복합체와 수면방추가 생긴다는 사실도 이 같은 가설을 뒷받침한다. K-복합체와 수면방추가 잘 형성되면 소리가 나도 쉽게 깨지 않는다.결국 2단계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