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부위를 장식하는 데 옥돌(石)이 쓰인다. 울림통은 오동나무(木)로 만들며 원통을
옆
으로 눕힌 모양인데, 한쪽 바닥은 소리가 퍼져나갈 수 있도록 뚫려 있고 다른 한편은 오동나무로 막혀 있다. 막힌 부분을 복판이라고 부른다.유현과 대현은 복판 위에 있는 원산이라는 괘를 지나 공명통 아래에 ... ...
달려라! 녹색 자전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여기에 있어요.넘어지려는 방향으로 손잡이를 틀어라! - 원심력자전거를 타다 보면
옆
으로 넘어질 것처럼 비틀거릴 때가 있다. 이럴 때는 손잡이를 넘어지려는 방향으로 틀면 바로 일어설 수 가 있다. 예를 들어 자전거가 왼쪽으로 기울어지면 손잡이를 왼쪽으로 돌리는 식이다. 그러면 순간 ... ...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 수학계 변신의 귀재, 선!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latitude와 ‘경도’를 뜻하는 longitude가 있다. width은 length의 특별한 경우로 육면체의
옆
면의 길이를 말한다. 쉽게 말하면 length는 가로 길이고, width는 세로 길이다. width는 고대영어의 ‘떨어져 있는’ 를 의미하는 wi에 그 어원이 있다. 변과 모서리 중 base와 수직인 길이, 즉 높이를 height라 ...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볼 사이의 틈이 좁아 볼이 구를 때 마찰이 크기 때문이다. 볼펜을 세운 채 누르지 않고
옆
으로 움직이면 볼이 구르지 않아 잉크가 나오지도 않을 정도다. 보통 유성볼펜의 볼 지름이 0.5mm가 넘는 이유도 볼이 작을수록 굴리는 데 힘이 더 들기 때문이다.참고로 볼펜의 규격은 볼의 지름을 의미한다. ... ...
초록빛 형광 원숭이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낸답니다.예에? 형광 원숭이요? 아, 그래서 초록색으로 빛이 나는 거군요. 그런데
옆
에 새끼 원숭이가 보이는데….맞아요. 제 정자로 인공수정되어 태어난 새끼랍니다. 그런데 보시는 것처럼 저와 같은 초록색 털과 피부를 갖고 있으며, 자외선을 쬐면 피부 조직 속의 형광 단백질이 초록색으로 빛이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폭이 넓을수록 먼 곳까지 바람이 잘 통한다. 반대로 도로가 좁고 구불구불하거나 도로 양
옆
으로 높은 건물이 늘어서 있다면 오염물질이 넓게 퍼지기 어렵다.도시 가장자리의 아파트 단지도시 바깥의 산이나 언덕은 찬바람을 만들어 내는 곳이다. 그런데 도시 가장자리에 아파트를 많이 지으면 ... ...
기상 오보 바로잡을 파란 눈의 ‘구원투수’ 나섰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단장에게 ‘자신이 한국에 온 이유가 무엇인 것 같냐’고 물었다. 단장은 쑥쓰러운 듯
옆
에 있는 장 사무관에게 답변을 들으라고 했다. 장 사무관은 “단장이 가장 높이 평가받는 부분은 그가 미국 기상청과 대학, 두 곳 모두에서 근무한 경력”이라며 “교수는 학문에 대한 이해의 폭은 넓을지 ... ...
브래지어 방독면 개발에서 임신부 척추 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역할을 하고 브래지어 어깨끈이 방독면에선 머리 위를 지나게, 브래지어
옆
띠는 머리
옆
을 두르게 변환된다. 특허에 그려진 브래지어 방독면을 쓴 남자의 얼굴 표정은 장난스럽기는커녕 자못 심각하다. 아무튼 위험지역에서는 이런 브래지어가 정말 유용하게 쓰일지도 모른다.올해 물리학상을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수 있었다. 주위는 이미 깜깜해졌지만 온누리호는 대낮같이 불을 밝히고 있다. 온누리호
옆
에 있는 크레인이 노란 줄이 감긴 커다란 실패처럼 생긴 설비를 들어올려 온누리호 갑판으로 옮기고 있다.“오늘 하루 크레인을 임대했기 때문에 밤이라도 작업을 해야 합니다. 이건 스트리머(streamer)인데 ... ...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이 있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있는 별의 중력 때문에 휘어져 허상이 생기거나 별의 밝기가 변하는 현상이다. 이를
옆
에서 보면 볼록렌즈를 통과하는 빛이 휘어지는 모습과 비슷하기 때문에 ‘렌즈’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처럼 빛이 휘는 건 1915년 발표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예측한 현상이다. 1937년 스위스의 천문학자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