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밀"(으)로 총 1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택에서 타운까지 제로에너지!동아사이언스 l2014.12.17
- 어느 정도 들어갈까. 백 박사는 “예 산에 따라 다르겠지만, 기본적으로 단열, 기밀화 등의 패시브 기술을 통해 에너지 부하가 최 소화되도록 하고, 여름에 태양열을 적게 받고 겨울에 많이 받도록 건물을 설계해야 할 것”이 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런 상태에서 나머지 부족한 부분을 ... ...
- [생활 속의 기술] 아이스크림에 대한 세 가지 궁금증KOITA l2014.12.15
- 한계다. 설령 곱게 갈았다고 하더라도 입안에서 ‘사르르’ 녹지 않는다. 눈꽃 빙수의 비밀은 ‘우유 얼음’에 있다. 순수한 물과 다르게 우유는 콜로이드성 액체다. 우유는 물에 영양 분자들이 섞여있는 혼합물이란 뜻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혼합물에서 알갱이가 가라앉는 것과 다르게 우유 속 영양 ... ...
- 글루텐은 억울하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0.29
- 사이에서는 글루텐 프리 식단이 오히려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의견도 많다. 밀이 없는 대신 탄수화물과 당류가 많고 비타민과 식이섬유가 적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글루텐 프리 식단이 비만이나 대사 증후군의 발병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우려한다. 실제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의 기사에 ...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2014.10.06
- 아시아티카가 더 흔했다. 그러다 중국에서 개량된, 빈과(蘋果)로 불리는 사과(말루스 푸밀라로 보임)가 17세기 후반 한반도에 소개되면서 숙종이 북악산 뒤 자하문 밖 일대에 심게 했고 다른 곳에서도 재배되기 시작했다. 구한말 자하문 밖 과수원에 봄이 오면 빈과나무 20만 그루에서 핀 사과꽃으로 ... ...
- [Green Community 동아사이언스 l2014.08.27
- 연간 난방 에너지 소비량’도 15kWh 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주택은 고단열, 고기밀 형태로 지어야 하며, 환기로 버려지는 열을 열교환기로 최대한 회수해 난방용 에너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만든다. 패시브 하우스는 화석 에너지 대신 자연 에너지만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100% ... ...
- 글루텐을 위한 변명2014.07.07
- 대부분의 빵은 빵이 아니다! “어떤 수식어도 붙지 않은 빵이라는 단어는 오로지 밀가루, 사워도우배양액(발효종) 혹은 맥주나 곡물로 만든 효모, 식수, 소금을 섞은 반죽에서 나온 산출물에만 사용된다.” ... ...
- "잘키운 생명공학 인재, 한국판 몬산토 밑거름"동아사이언스 l2013.08.28
- 공동연구진이 밀 농병균인 ‘Ug99’에 대한 면역력을 지닌 ‘Sr35’ 유전자를 보유한 야생 밀을 찾아내 사이언스에 발표한 것과 같은 방식이다. 탄저병에 강한 고추를 개발하면 버려지는 작물과 농약 살포 등에 따른 비용을 연간 총 1100억 원 가량 절감할 수 있다고 이 과장은 설명했다. ... ...
- 그 많은 우유는 누가 다 먹을까동아사이언스 l2013.08.12
- 설사를 비롯한 증상이 나타난다고 한다. 그런데 왠지 이 정도는 좀 애매할 것 같고 한 500밀리리터 정도는 마셔야 확실할 것 같다. 우유 먹고 배탈이 난 기억이 없는 필자는 10% 확률의 변이 유전자를 갖고 있을지도 모르겠기에 한 번 시험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 ... ...
- [채널A] 英 기자 “북한보다 뒤지는 한가지는…” 한국 맥주 왜 맛 없나채널A l2013.08.06
- 좋습니다. 유럽식 밀맥주는 이런 거품 유지력이 다른 맥주에 비해 뛰어납니다. 보리외에 밀과 같은 곡물을 넣어서 단백질 함량이 높기 때문입니다. 결국 풍부한 원료와 독특한 제조방식이 맛의 비결인 셈입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economy/3/01/20130 ...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동아사이언스 l2013.05.22
- 아니라고 전제했을 때 생긴다. 이에 대해 엔코드의 결과는 사람의 게놈에 대한 것이고 밀의 엄청난 정크DNA는 진짜 쓰레기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건 맘에 안 든다. ●엔코드 프로젝트의 해석은 과장? 그런데 ‘미국립과학회보(PNAS)’ 4월 2일자에 무척 흥미로운 글이 한 편 실렸다. 캐나다 ... ...
이전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