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스페셜
"
먹이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집채 만한 대왕고래도 몸집에 한계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작은 새우나 플랑크톤을 잡아 먹는다. 연구팀은
먹이
의 크기는 아주 작지만, 섭취하는
먹이
의 총량은 작은 고래들에 비해 훨씬 많다는 것을 알아냈다. 몸집이 거대한 비결이다. 대왕고래도 역시 몸집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거대 고래들은 사냥 실력보다는 얼마나 많은 양의 바닷물을 ... ...
"똥본위화폐로만 입장권 살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보일러로 들어가 난방 연료가 되고, 이산화탄소는 조류배양조로 옮겨져 미세조류의
먹이
가 된다. 이렇게 분리한 이산화탄소는 녹조류를 배양하는 데 사용되고 이 녹조류를 짜내면 나오는 식물성 기름을 화학 처리하면 친환경 연료인 바이오 디젤로 사용할 수 있다. 사람의 하루 용변량을 20 ... ...
[표지로 읽는 과학] 쇠똥구리 가슴뿔과 날개는 기원이 같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딱정벌레목 풍뎅이과 쇠똥구리아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먹이
인 소똥을 굴리는 재미난 습관을 가졌다. 물구나무를 서서 야생에 있는 소나 말, 사람의 똥을 집(땅속 굴)까지 구슬처럼 둥그렇게 굴리면서 간다. 쇠똥구리는 다른 딱정벌레들과 비교해 몸이 편평한 편이며, ... ...
[애니멀리포트]버려진 웅담채취용 사육곰에게 해먹을 선물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1.23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먹이
를 찾으며 보내지만 사육곰은 하루에 한 번, 짧은 시간 안에
먹이
활동이 끝나기 때문에 많은 시간 지루하게 보내야 한다. 곰 보금자리 프로젝트 팀은 버려진 소방호스를 엮어서 곰이 사용할 해먹을 만들었다. 소방호스는 질기고 단단해 곰의 무게와 날카로운 발톱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짜게 먹으면 치매 걸릴 위험성 높다
2019.11.12
인산화 반응이 과도해져 알츠하이머병에 이를 수 있다는 말이다. 이 경우도 아르기닌을
먹이
면 일산화질소 수치가 회복돼 타우 인산화가 억제됐다. 타우 단백질(파란 실)은 미세소관(원통)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인산화(빨간 공)가 지나치게 일어나면 미세소관에서 떨어져 서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서로 다른 나비가 닮아 보이는 이유 '유전자 흐름'
동아사이언스
l
2019.11.03
서로를 닮는 '뮐러 의태'다. 이들은 계통학적 분류에서 전혀 관계가 없고 자기들끼리도
먹이
관계도 없다. 다만 포식자가 같아 독이 있거나 맛이 없게 보이도록 무늬를 진화하는 과정에서 색깔과 패턴이 서로 비슷해졌다. 뮐러 의태는 베이츠 의태와 달리 누가 누구를 따라했는지 분명하지가 않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하루 주기 변덕은 생체시계 때문?
2019.10.08
먹이
를 찾는 것과 관련이 있다. 흥미롭게도 초파리가 녹색빛을 선호하는 시간대가 바로
먹이
활동이 활발한 때다. 한편 정오 무렵 빨간빛 선호도가 녹색빛 수준까지 올라가는 건 쉬는 시간대이기 때문이다. 우리도 낮잠을 잘 때는 너무 밝은 데보다 약간 어두운 곳이 더 편하지 않는가. 그렇다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알코올의존증, 침(針)으로 고친다
2019.09.10
보상회로가 정상을 회복하면 술에 대한 갈망이 줄어들 것이다. 레버를 누르면 막걸리
먹이
몇 방울을 먹을 수 있게 학습한 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금단현상을 보이는 쥐는 30분 동안 60회나 눌렀지만 침을 맞자 14회로 뚝 떨어졌다. 침 대신 β-엔도르핀 주사를 맞아도 거의 같은 효과를 봤다. ... ...
[에코리포트] 인도의 호랑이 호구조사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9.07
것은 그 지역의 생태계가 건강을 되찾았다는 걸 의미합니다. 호랑이가 먹고 살기 위해선
먹이
가 될 야생동물이 풍부해야 하고, 그 지역의 자연환경이 잘 보존돼 있어야 합니다. 또한 호랑이는 최상위 포식자로서 야생동물들을 잡아먹어 생태계의 개체수를 적절히 유지하기도 해야합니다. 호랑이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시나리오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여러 배양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MK-D1은 아미노산을
먹이
로 삼아 이를 분해해 에너지를 얻는 것으로 밝혀졌다. MK-D1 게놈을 해독해 대사 관련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도 이 관찰을 뒷받침했다. 아미노산 분해 과정에서 나오는 전자는 수소분자나 포름산염 형태로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