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스페셜
"
먹이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닿은 부분을 만졌다. 훈련으로 거울이 자신을 비춘다는 걸 깨달은 원숭이들은
먹이
보상이 없어도 거울을 보고 저에너지 레이저빔 반점이나 냄새가 없는 색소로 그린 반점을 만졌다. 그리고 반점 부위를 만진 손을 쳐다보거나 냄새를 맡았다. 침팬지가 테스트에서 하는 행동과 똑같은 행동이다. ... ...
'90.5를 기억하라'…인간마저 위협하는 플라스틱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2.09
동물은 플라스틱과 음식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훨씬 더 위험합니다. 플라스틱을
먹이
로 착각하고 먹은 동물들은 배부름을 느끼고 음식을 제대로 섭취하지 않아 영양실조로 죽습니다. 헤엄을 치다가 그물이나 플라스틱 고리에 몸이 끼어서 제대로 움직이지 못해 죽기도 합니다. 하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괴혈병이라는 치명적인 질병에 걸린다. 저자는 책에서 “대다수 동물은 매일 똑같은
먹이
를 먹고도 잘만 살지만, 인간은 필요한 영양소를 모두 섭취하려면 말도 안 되게 다양한 음식을 먹어야 한다”며 한탄하고 있다. 침팬지는 정적인 생활 해도 건강 그런데 만일 저자가 이 책의 2판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수궁류는 티라노사우르스 때문에 멸종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거닐던 코끼리 크기만 한 ‘디키노돈트 리소비치아 보자니(dicynodont Lisowicia bojani)’가
먹이
를 찾고 있는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디키노돈트는 포유류의 특징을 가진 파충류이며, 이른바 ‘수궁류’라 불리는 고대 생물이다. 고생대와 중생대 초기의 동물 수궁류는 폐름기 대멸종 이후에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있다. ‘꿩 대신 닭’이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 방(60%) 또는 지방(30%)과 설탕(25%)이 많은
먹이
를 먹더라도 시간제한섭식(하루 8~9시간)을 하는 그룹은 언제나 먹을 수 있는 그룹(Ad libitum)에 비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적다. 주중에만 시간제한섭식을 해도 이런 효과가 나타나므로(아래) 며칠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새
먹이
사슬이 바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천적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쿠벨카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새의
먹이
사슬에 어떤 변화를 주는지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다”며 “새 생태계가 어떻게 변할지 다방면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참고로 사람은 51개다. 이처럼 크기가 작은 건 정교한 혈당 조절 기능이 필요한 게 아니라
먹이
의 혈당을 떨어뜨리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그에 필요한 최소한의 구조를 띠게 효율적으로 진화한 결과로 보인다. 바꿔 말하면 청자고둥의 인슐린은 사람의 인슐린보다도 효과가 더 빠르다는 ... ...
오늘은 나도 돌고래 연구자! 지구를 위한 과학, 제주 돌고래 탐사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1
연안에서 남방큰돌고래 행동관찰을 한답니다. 등지느러미로 개체를 식별하고, 성별과
먹이
도 식별할 수 있어요. 등지느러미에 ‘1’이라고 쓰여 있는 개체가 바로 제돌이랍니다.” 제돌이는 서울대공원 수족관에 있다가 5년 전 제주 앞바다로 돌아간 남방큰돌고래로, 당시 이를 계기로 돌고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닭은 작으므로 열 마리를 한 마리로 치면) 내놓는 배설물도 어마어마하지만 이들을
먹이
는데 들어가는 사료도 엄청나다. 대부분 옥수수와 콩 같은 농작물로, 재배 과정에서 필요한 물을 대느라 세계 곳곳에서 저수지와 지하수가 고갈되고 있다. 실제 가축을 키우는데 들어가는 ‘물 발자국(water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정적인 동물이 됐다. 즉 하루에 20시간 동안 잠을 자며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한다.
먹이
활동도 주로 밤에 하기 때문에 야생 코알라를 보러 유칼립투스 숲을 찾아간 관광객들은 잠만 자는 모습에 실망하는 경우가 많다. GIB 제공 잡식동물의 딜레마, 해결책은 미식? 반면 잡식동물인 사람은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