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스페셜
"
먹이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영어 단어를 외우고 수학 문제를 풀라고 진화한 건 아니다.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먹이
를 찾고 짝을 만나 자손을 보는 과정에서 필요한 여러 행동을 잘 해낼 수 있게 진화한 것뿐이다(다만 몸이 약하므로 다른 동물들보다 머리를 더 써야한다). 적응 능력 모형에 따르면 일상에서 이런 행동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N14와 N15의 상대적인 양을 분석하면 육류섭취 정도를 추측할 수 있다. 즉 N15의 경우
먹이
사슬이 올라갈수록 비율이 높아지는데 따라서 식단에서 육류의 비율이 높을수록 콜라겐의 N15 비율이 높다. 분석 결과 양사오문화 사람들에 비해 동주시대 사람들의 콜라겐에서 N15의 비율이 더 낮았다. 즉 ... ...
[사이언스 지식IN] 그 많던 까마귀는 어디로 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21
떼까마귀 10만 여 마리가 모입니다. 낮에는 근처의 논밭에 각기 흩어져 곡식 낱알과 같은
먹이
를 찾아 떠났다가 해질무렵이면 다시 무리를 이루며 모입니다. 최유성 국립생태원 연구위원은 “해질 무렵 보이는 까마귀는 곧 잠자리로 들어간다”며 “수원의 경우 근처에 떼까마귀가 잠자리로 삼은 ... ...
[사이언스지식IN] “돌 안된 아이에 꿀 금지, 잊지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지난달 30일, 일본 도쿄에서 생후 5개월을 갓 넘긴 남자 아기가 꿀 때문에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사인은 영아 보툴리누스증. 일본에서 처음으로 생후 5개 ... 있는 더운 물을 많이
먹이
는 것이 좋다. 지금이라도 위험성을 알고 돌 이전에는 절대 꿀을
먹이
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재료 가운데 하나인 우리딘(uridine)이 ‘굶주림 신호분자’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먹이
를 먹지 못한 생쥐의 지방세포에서 우리딘이 분비돼 혈중 수치가 높아지면 답즙 분비가 줄고 미토콘드리아의 세포호흡이 떨어지고 체온이 내려가 에너지 소모를 줄인다. 또 식욕억제호르몬으로 알려진 렙틴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속 희미한 빛이 닿는 곳, ‘트와일라잇 존’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전했습니다. 이어 “아직 우리는 그들의 모습을 관찰했을 뿐, 그들이 어떻게
먹이
를 해결하는지, 서로 다른 종끼리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생태계 원리는 전혀 알지 못한다”며 앞으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리차드 파일 박사가 코스타리타 해변의 트와일라잇 존에서 자신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원천적으로 차단돼 있다. 즉 자기의 새끼를 식별할 능력이 없어도 남의 새끼에게
먹이
를 줄 일은 없다는 말이다. 드 발은 “모든 종은 자신의 생태환경에 맞게 적응돼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쓰고 있다. 이와 관련해 놀라운 연구결과가 지난 2011년 ‘사이언스’에 실렸다. 미국 중서부에 사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발현이 높았다. 이는 포충낭의 형태와 기능을 생각하면 예상한 결과다. 즉 식충식물은
먹이
를 유인해 포획하고 소화한 뒤 흡수해야 하는데 이들 발현의 변화가 각각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즉 형태형성 유전자 발현으로 잎보다 구조가 훨씬 복잡한 포충낭의 전체 골격이 만들어지고 녹말 및 당 대사 ... ...
이 괴물이 인류의 조상이라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2
사코르히투스가 큰 입을 이용해 바다 밑바닥에서 입으로 주변 물을 빨아들임으로써
먹이
를 삼켰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얇은 몸체는 유연한 피부와 근육으로 구성되며, 사코르히투스는 근육을 수축하고 꿈틀거림으로써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항문이 따로 없기 때문에 소화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파킨슨병에 걸릴 위험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한편 실험동물에게 수면이나
먹이
를 먹는 시간대를 늦추는 사회적 시차를 겪게 하면 학습과 기억력이 크게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뇌세포의 염증수치가 올라가 있고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에서는 신경생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