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스페셜
"
먹이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행동의 진화] 인류는 늘 이주를 꿈꾼다
2020.12.06
변두리에 사는 종은 종종 정착보다 이주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먹이
공급이 일정하지 않고, 다른 경쟁자도 쉽게 침범할 수 있다. 그런 곳은 오래 살아도 별로 얻을 것이 없다. 이주불안을 느끼는 변두리 종이 더 유리하다. 급변하는 환경에도 어떻게든 생존할 수 있었을 것이다. ... ...
[인간 행동의 진화] 텃세의 진화
2020.11.29
못한다. 선점권이 약해지면, 세력권을 둘러싼 경쟁이 점점 치열해진다. 짝짓기 기회나
먹이
가 부족할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소속 사진가들이 좋아할 만한 역동적인 현상이 많이 벌어진다. 하지만 분명 평화로운 세상은 아니다.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몇 번의 경험(학습)으로 이를 알아챈 벌새는 실험에서 ‘자외선+녹색빛’ 조명이 비치는
먹이
통을 향해 날아간다. 양쪽 모두 그냥 녹색으로 보이는 사람 눈에는 신기할 따름이다. 그렇다면 새들은 왜 3색형 색각의 총천연색에 만족하지 못하고 4색형 색각의 울트라총천연색을 볼까. 연구자들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몸 차갑게 하고 덜 먹어야 오래 산다
2020.10.20
칼로리 제한을 할 때 30도에서보다 두 배였다. 이는 22도 칼로리 제한에서는 섭취한
먹이
로는 열을 내기가 부족해 체지방을 지방산으로 분해해 연료로 쓰기 때문이다. 다이어트를 할 때도 주위 온도를 낮춰야 효과가 더 크다는 말이다. 참고로 사우나로 땀을 내는 건 살(체지방)을 빼는 게 아니라 ... ...
[인간 행동의 진화]귀여워지고 싶은 마음
2020.10.11
누구나 겪어야 하는 독립과 투쟁의 시기다. 거친 자연에서 풍찬노숙하며 살아야 한다.
먹이
를 구하고, 동성의 라이벌과 경쟁하며, 짝을 찾고, 자식을 낳아야 한다. 자연스러운 성장과 발달의 과정이다. 이제 귀여움이 필요 없는 어른이다. 언제까지나 귀여워지고 싶어 하지만 예외가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말벌, 북아메리카 접수할까
2020.10.06
꿀벌의 방어를 뚫은 장수말벌은 꿀을 실컷 먹고 꿀벌 애벌레와 벤데기는 자기 애벌레의
먹이
로 삼는다. 장수말벌은 꿀벌뿐 아니라 다른 말벌의 벌집도 약탈하는 것은 물론이고 사마귀나 거미 등 여러 절지동물도 잡아먹는 무시무시한 포식곤충이다. 가끔 새에게 공격을 당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 ...
메뉴판서 ‘피쉬 앤 칩스’ 사라지고 ‘해파리 앤 칩스’ 먹어야할 날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수온이 높아지면서 개체수가 늘어난 대표적 해양 생물이다. 수온 상승으로 해파리의
먹이
인 플랑크톤이 늘어났고, 천적의 수도 줄어 개체수가 늘은 것으로 분석된다. 연구팀은 이번 분석 내용이 매우 보수적인 추정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수산물 산업은 관리기구없이 여러 국제 해역에 ... ...
4억년전 바다의 제왕 '판피어류' 대전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둔클레오스테우스 턱의 구조와 힘을 보면 둔클레오스테우스가 왜 데본기
먹이
사슬의 최상위 포식자인지를 알 수 있다”라며 “현재 주목받지 못하거나 잘 알려지지 않은 고생물학 분야를 지속적으로 연구해 지질과학의 신비로움과 재미를 알리겠다”고 말했다. 지자연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으로 살빼는 시대 오나
2020.09.22
유전자가 고장난 돌연변이 생쥐는 갈색지방의 열생성 반응이 더 활발했다. 그래서인지
먹이
를 더 많이 먹음에도 체지방 함량은 오히려 낮았다. 그리고 저온 상태에 놓였을 때도 열생성 반응이 아주 활발해 체온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았다. 정상 생쥐에서 옵신5 발현 뉴런은 과도한 열생성 반응을 ... ...
개미사회에도 감염병에 맞선 치열한 투쟁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포자 11종을 퍼트리자 개미들의 접촉 횟수가 큰폭으로 떨어졌다. 특히 둥지 밖에서
먹이
를 구해오는 병원체를 가지고 올 가능성이 높은 일개미들은 둥지에 들어가지 않고 둥지 바깥에 머물며 둥지 내 개미들과의 접촉을 최대한 줄였다. 둥지 안에 있던 개미들도 둥지의 더 깊은 곳으로 이동했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