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스페셜
"
먹이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행동의 진화] 미의 기준은 각자 다르지만 동시에 같다
2021.05.02
모방하는 둥글고 붉고 윤기 있는 대상에 대한 선호, 배경의 시각적 잡음에서 필요한
먹이
를 채취하기 위해서 색을 분리하고 대비하며 혹은 그룹을 지어 인지하는 경향, 그리고 특정 자극(어머니의 모습) 등이 주는 유리함을 감정적 선호와 연결 짓는 경향 등 다양한 적응적 인지 모듈이 미적 인지와 ... ...
남극 바다 수심 2000m 해저에서 발견된 대형 화살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1.04.21
형성의 기원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연결고리로 평가받는다. 또 이동능력이 부족해
먹이
가 풍부하지 않으면 생존과 번식이 어렵다. 박 책임연구원은 “초대형 화살벌레의 존재는 무진 열수 분출구 지역에 매우 많은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는 유력한 증거”라고 설명했다. 열수 분출구 주변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시장이 반찬인 이유
2021.04.20
때
먹이
를 먹고 난 뒤에도
먹이
냄새를 여전히 좋아했다. 그 결과 실험이 끝난 뒤
먹이
를 주면 배가 부름에도 또 먹었다. 시상은 뇌의 중심부에 존재하는 구조로, 후각을 제외한 감각 정보가 대뇌피질로 전달될 때 거쳐 가는 중계기지다. 후각 정보는 시상을 거치지 않고 바로 대뇌의 후각피질로 간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먹이
사슬 타고올라간 '신경독' 최상위 포식자 위협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8
분석이다. 수생 식물에서 자라는 시아노박테리아는 질병을 일으키는 신경독을 생성해
먹이
사슬을 통해 야생 동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기존 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수생 생물에 의해 생성된 독소가 야생 동물은 물론 우리 환경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을 과소평가해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2의 미토콘드리아 찾았나
2021.03.23
10개 내외 들어있었다. 연구자들은 섬모충의 하이드로게노좀이 만들어내는 수소를
먹이
로 삼는 메탄생성 고세균이라고 생각하고 검출 시약을 넣었지만 반응이 없었다. 이상하게 생각해 박테리아 검출 시약을 넣자 이번엔 형광이 번쩍거렸다. 뜻밖에도 박테리아였던 것이다. 놀랍게도 호수 ... ...
[표지로 읽는 과학] 9300만년 전 백악기 바다엔 날개 달린 상어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1
물을 마신 다음 플랑크톤을 걸러 먹는 여과 섭식을 했을 것으로 추정됐다. 플랑크톤을
먹이
로 삼은 백악기 대형 해양 동물은 지금은 멸종한 경골어류인 ‘파치코미포름(Pachycormiformes)’이 유일했으나 이번에 독수리상어가 추가됐다. 상어나 가오리 같은 연골어류는 3억 8000만 년 전 출현해 다양한 ... ...
[인간 행동의 진화] 인간은 어떤 곳에 살고 싶어하는가
2021.03.20
보며, ‘얼마나 추울까?’라고 여기면 곤란하다. 펭귄에게는 그곳이 최적의 서식지다.
먹이
도 찾고, 짝도 만나고, 새끼를 낳아 키울 수도 있는 곳이다. 물론 추운 기후 덕분에 포식자도 적다. 오들오들 떠는 펭귄에게 보일러를 놔주겠다는 마음이 든다면, 너무 인간 중심적인 공감이다. 사실 남극에 ... ...
미 대륙에서 나비가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5
구멍을 찾아 헤맨다는 것이다. 반대로 해빙 면적이 줄면 바다로 쉽게 들어갈 수 있어
먹이
를 쉽게 찾고, 구멍을 찾아 헤매는 에너지 소모도 적어진다는 것이다. 실제 연구팀의 분석에 따르면 펭귄의 체중이 해빙 면적이 줄어들면서 오히려 증가했다. 다만 몇몇 종을 제외하곤 대부분의 동물들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에는 생체시계 네트워크가 있다
2021.03.02
019년 학술지 ‘셀 리포츠’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생쥐에게 3시간 간격으로 하루 8차례
먹이
를 조금씩 줘 위의 상황을 유도하자(늘 출출한 생쥐는 바로바로 먹어 치운다) 간의 경우 24시간 주기 발현 패턴을 보이는 유전자의 70%가 주기를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격근과 갈색지방조직의 대사 관련 ... ...
암 환자의 또다른 고통 ‘섭식장애’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암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INSL3을 쥐 뇌에 직접 주입할 경우
먹이
섭취량과 체중이 감소했다. 김송철 서울아산병원 연구팀은 암 악액질 증후군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연관성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섭식장애가 나타는 췌장암 환자에서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