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스페셜
"
먹이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초미세플라스틱, 모유 통해 자손 뇌로 전달된다"…발달 이상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2.14
크기가 작아 하루처리시설 등에 걸러지지 않고 바다와 하천으로 유입된다. 이를
먹이
로 오인한 물고기가 미세플라스틱을 먹고, 다시 인간이 이 물고기를 먹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 연구팀은 “최근 초미세플라스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환경과 생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되지만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다의 대식가' 고래, 생태계 영향력도 그만큼 커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6
혹등고래 개체군별로 각각 200만 t의 식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래가
먹이
를 더 많이 섭취하는 만큼 고래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더욱 크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고래가 대변 형태로 재순환시키는 철분의 양을 분석한 결과 남극해 기준 고래 한 마리가 1200t의 철을 재공급하는 것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
2021.10.26
분자(캡2)가 들어있지만 북부나무두더지는 캡2의 매운맛을 느끼지 못하게 진화해 pb를
먹이
로 삼는 데 성공했다. 플로스 생물학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초파리에게 간헐적 단식을 시켜보니
2021.10.19
자정부터 저녁 8시까지 20시간 동안 굶는다. 저녁 8시부터 이튿날 자정까지 28시간 동안
먹이
를 먹을 수 있다. 그 결과 놀랍게도 간헐적 단식의 수명연장 효과가 사라졌다. 굶는 20시간의 중심에 밤이 놓여야 한다는 말이다. 초파리 생체시계 회로의 전모는 2000년대 들어서야 밝혀졌다. PER 단백질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계천의 왜가리는 별종일까
2021.09.14
차이를 설명하기에 부족해 보이다. 사실 동물 문화에 대한 최초의 증거도 새의
먹이
활동에서 포착됐다. 1930년대 영국에서 박새가 우유병의 종이 뚜껑을 찢어(한 세대 전 한국에도 이런 우유병이 있었다) 위에 뜬 크림을 먹는 모습이 관찰되기 시작했다. 그런데 불과 10년 사이 이 행동(문화)이 영국 ... ...
[표지로 읽는 과학] 날랜 다람쥐 나뭇가지 오가는 비밀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8
아니면 포기할지를 결정해야 하는 상황으로 유도했다. 실험에 참여한 12마리의 다람쥐가
먹이
를 먹기 위해 도약하는 장면 96회를 고속 카메라에 담아 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다람쥐는 도약하는 지점이 약하면 더욱 조심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삼고 있음을 발견했다. 다람쥐는 가지가 구부러져 ... ...
남극 황제펭귄도 멸종위기종 지정…지구온난화로 2100년 서식지 98% 사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너무 적으면 알이 부화할 때 새끼가 바다에 빠져 죽을 수 있고, 해빙이 너무 넓으면
먹이
를 찾기 위한 여정이 너무 힘들어 새끼가 굶어 죽는다”고 말했다. 제누비 연구원은 2019년에도 미국국립기상연구소(NCAR)의 기후변화 모델을 이용해 파리기후협약이 목표로 하는 1.5도 이내 상승이 실현될 경우 ... ...
[강석기의 과학카페]'비너스의 꽃바구니'로 불리는 해면 이야기
2021.08.03
사이의 틈을 지나 위강으로 들어오면 채찍이 연상되는 편모가 달린 동정세포가 떠다니는
먹이
를 끌어들여 먹는 부유물섭식자다. 안으로 들어온 물은 꽃바구니의 주둥이인 대공을 통해 빠져나간다. 보통 이 정도 크기의 구조물이 초속 1~10㎝ 또는 그 이상 속도인 물의 흐름에 놓이면 표면에 와류 ... ...
아델리 펭귄은 남극 위협하는 지구온난화를 극복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30
때문으로 추정했다. 빙붕이 사라진 바다에는 빙하가 녹은 물이 유입되면서 펭귄의
먹이
인 크릴 등이 살기 좋은 환경이 조성된다. 이원영 선임연구원은 “펭귄 일부가 변화에 적응하며 버티고 있지만 대다수는 급격한 변화로 위기에 처해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환경 연구’ ... ...
[프리미엄 리포트]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l
2021.07.17
생태계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모자이는 “다량의 매미가 분포하면 포식자는
먹이
채집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으니 일리는 있다”면서도 “다만 그 사실을 증명할 연구가 이뤄진 적이 없어 아직은 가설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 생존을 위해 땅속을 선택한 매미 미국에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