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703건 검색되었습니다.
겹쳐서 빠르게 이동하는 적혈구 확인...영상 복원 AI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물리적 통찰력을 갖춘 인공지능(AI)을 개발한 장무석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와 이찬석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과정 연구원. KAIST 제공 3차원 공간에서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적혈구의 형태를 영상으로 복원하고 생체에서 조직 일부를 떼내 암을 진단하는 '생검' 영상을 정확히 복원하는 인공 ... ...
우주식량·인공장기 만드는 3D프린터...우주 개척에 날개 단다
과학동아
l
2023.02.04
연구팀은 화성 표면에서 발견되는 암석 물질로 고성능 소재를 만드는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진
은 화성 표토를 모사한 물질과 내열성과 강도를 높이는 소재인 티타늄 합금을 각각 다른 비율로 혼합했다. 100% 레골리스로 만들어진 물체는 쉽게 깨지고 강도가 부족한 반면, 티타늄에 레골리스를 5% 가량 ... ...
"초저출산으로 30년 뒤 이공계 석박사생 반토막"
동아사이언스
l
2023.02.03
수도권대형사립대학 소속 학생이 전체 43.8%를 차지한다. 보고서를 작성한
연구진
은 “대학유형별 학생 현황 및 전망을 고려한 특성화 추진과 대학 연구개발(R&D) 역할 존속을 위한 정책방향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여러 위성으로 우주안보 챙긴다...KAIST, 특화연구센터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연구부총장, 최한림 센터장(항공우주공학과 교수) 등 KAIST 관계자와 센터에 참여하는
연구진
들이 참석했다. 최한림 센터장은 비전 발표를 통해 “이종의 위성군을 통합적, 협력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은 세계적으로도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도전적이고 선도적인 기술”이라며 “연구센터를 통해 ... ...
산업현장서 에너지 효율 높이는 '모니터링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ETRI
연구진
이 FEMS 표준 플랫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ETRI 제공 산업 현장에서 에너지 효율을 향상하거나 절약할 수 있는 선도기술이 개발됐다. 탄소배출 저감과 제조기업의 ESG(사회·환경·지배구조) 경영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의 전 주기를 ... ...
"사슴, 코로나 바이러스 저장소...알파·감마 변이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코로나 바이러스를 옮겼으며 사슴이 서로에게 바이러스를 퍼뜨린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진
은 인간이 사슴에게 먹이를 주거나 사슴이 인간의 쓰레기 등을 접촉하면서 바이러스가 퍼진 것으로 추측했다. 코넬대 연구팀은 2020년과 2021년 9월부터 12월까지 뉴욕주에서 사냥꾼이 죽인 ... ...
위기감 드리운 K반도체..."R&D 질적 역량도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분야들은 연구 규모가 증가한 이후 영향력이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연구진
은 또 반도체 관련 연구 분야의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기술경쟁 뿐만 아니라 협력경쟁도 가속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주요국의 양자협력관계 분석에서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중국과의 협력이 ... ...
페인트 칠하듯 발라 저렴하고 성능 좋은 태양전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건물 지붕에 설치된 태양광 시스템. 건물일체형 태양전지(BIPV)는 건축물의 외장재로 태양광 전지판을 사용해 전기를 생산한다. Sungrow 제공 국내 연구팀이 태양전지 소자 용액을 마치 페인트를 칠하듯 발라 태양전지를 제작하는 공정을 개발했다. 상용화가 이뤄지면 태양전지의 단가를 줄일 수 있을 ... ...
미세먼지 속 세균이 호흡기 질병 유발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
이 미세먼지가 호흡기 질병을 일으키는 원리를 찾았다. 미세먼지 내 감염병 세균에 의한 호흡기 질환 치료와 유해 세균 증식 제어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이무승 환경질환연구센터 ... ...
‘1000조 분의 1초' 나노입자 찰나의 변화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1.29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연구원, 노학원 UNIST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국내
연구진
이 ‘1000조 분의 1초’ 동안에 일어나는 찰나의 변화를 직접 관측하고 제어할 수 있는 초고해상도 이미징 기법을 구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권오훈 화학과 교수팀이 국내 유일의 ‘4차원 초고속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