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703건 검색되었습니다.
티타늄 합금 블레이드 손상부위, 3D프린팅으로 복구해 원가절감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프린터가 티타늄 합금 블레이드의 손상부를 복원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산업체에서 물체를 절단하는 데 사용하는 ‘티타늄 합금 블레이드’의 원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3D 프린팅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김현길 핵연료안전연구부장 연구팀이 ... ...
호흡 속 가스 분석해 질병 진단하는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수백종 이상의 가스들이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에 호기 분석 정확도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
은 분무열분해법을 통해 넒은 비표면적(단위 질량당 총 표면적)과 다공성 구조를 갖는 팔라듐 촉매가 첨가된 산화주석 구조체를 설계해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조기진단에 활용될 수 있는 수소가스를 ... ...
운동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 영상으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고려대안산병원 핵의학과 교수. 고려대안산병원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운동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영상으로 입증했다. 고려대안산병원은 박기수 핵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핵의학 영상을 통해 운동의 항스트레스 효과를 영상으로 입증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내분비학 ... ...
경제성·안정성 다 잡은 수소연료전지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5
촉매보다 수소연료전지 성능이 우수했고 내구성도 10배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
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나노튜브 구조체의 장력이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다양한 나노구조체에 충분한 곡률이 유도되면 기존 물질의 전자구조가 달라져 촉매의 안정성 향상을 ... ...
나트륨, 사망과 관련 없어...칼륨 섭취시 심혈관계 사망률 ↓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칼륨 섭취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
연구진
. 왼쪽부터 이지원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권유진 용인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이혜선 세브란스병원 의학통계학과 교수. 세브란스병원 제공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이 있는 나트륨이 심혈관 질환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 ...
실시간 뇌 혈류 측정기술 나왔다..."운동 중에도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나뉘는데 다중모드는 여러 빛을 활용할 수 있어 빠르게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연구진
은 또 고속 2차원 카메라를 사용해 πNIRS에서 수집된 광 신호가 빠른 속도로 기록될 수 있는 기술도 적용했다. 개발한 진단 기술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39세의 테스트 지원자에게 낯선 글을 읽게 하고 전두엽 ... ...
암세포와 싸우는 'NK세포' 작용 조절하는 새 면역관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UST) 박사과정생, 김태돈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암세포를 직접 파괴하는 자연살해(NK)세포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신규 면역관문을 발견했다. 새로운 면역관문을 겨냥하는 항암 면역 치료제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것으로 기대된다. ... ...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γ-secretase) 효소에 의해 두 번째 절단 과정을 거쳐 신호 전달 활성화로 이어진다.
연구진
은 특정 수용체에 기계적, 시공간적 자극을 전달할 수 있는 나노기술인 ‘메카노제네틱스’를 이용해 접착연접이 감마 세크레타제 효소를 높은 농도로 모집하고 첫 번째 절단 과정을 거치지 않은 노치 수용체 ... ...
태아 상태에서 자궁내 수술로 이분척추증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양수가 신경손상을 악화시킬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셀 제비안 박사
연구진
은 임신 20주 정기검사를 받은 산모의 태아가 이분척추증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임신 2기(15~28주)에 수술하면 양수가 뇌에 축적돼 발생하는 수두증 위험을 줄이고 아기가 걸을 수 있는 확률을 두 ... ...
코로나 항바이러스 치료제, 오미크론 하위 변이에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MSD(머크앤드컴퍼니)의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라게브리오(성분명 몰누피라비르)'. 한국MSD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변이인 BQ.1.1와 XBB의 전세계 감염사례가 증가하는 가운데 기존에 사용되는 치료제가 이들 신종 변이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