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703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차 주행거리 1.5배 늘릴 리튬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바나듐 산화물을 이용한 리튬 배터리를 개발한 심기연 GIST 박사과정 연구원(왼쪽)과 엄광섭 GIST 교수. GIST 제공 바나듐 산화물을 이용해 에너지 용량을 50% 높인 리튬 금속 배터리가 개발됐다. 이 배터리를 활용하면 전기차 주행거리를 약 1.5배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 ...
5분만에 코로나 진단...초고속 PCR 검사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입자 내 광열 효과를 이용한 PCR 온도순환 모식도. KIST 제공 국내
연구진
이 빛을 받으면 열을 내는 소재를 이용해 유전자증폭검사(PCR)에 필요한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김상경 안전증강융합연구단 단장 연구팀이 광열 나노소재를 활용해 기존 PCR ... ...
여러 약물 복용시 부작용 예측 '美 FDA 수식' 정확도 '두배'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가 이끄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수리 및 계산과학 연구단 의생명 수학그룹. IBS 제공 한국
연구진
이 두 가지 서로 다른 약물의 상호작용을 평가하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수식 오류를 찾아내고 예측 정확도를 2배 이상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김재경 수리 및 ... ...
항암제 안듣는 췌장암 치료 실마리...세계 최초로 6개 종류로 분류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췌장암의 여러 발병 원인을 정밀하게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발병 원인의 차이를 고려한 치료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려대는 이상원 유전단백체연구센터 센터장 연구팀이 췌장암을 발병 원인에 따라 6가지 종류로 분류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2일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단백질량 변화 항염증 단백질인 클러스터린이 인간에게도 같은 효과를 보일 수 있을까.
연구진
은 경도인지 장애를 겪고 있는 퇴역 군인 환자들의 유산소 운동 전과 6개월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염증관련 단백질의 농도를 분석했다. 생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같이 클러스터린과 같은 항염증 ... ...
혈액으로 알츠하이머 진단 길 열릴까…비싼 검사법 대체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간편한 혈액검사로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법이 개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혈액 검사를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 판별 가능성을 제시하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알츠하이머 진단에 사용되는 값비싼 뇌 영상 촬영이나 고통스러운 뇌척수액 검사 없이 간편한 진단이 가능해질 것으로 ... ...
반도체 공정 핵심 ‘과산화수소’ 태양광으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연구결과를 게재한 표지논문. KIST 제공. 과산화수소는 산업계 100대 화학물질 중 하나로 반도체 생산 공정에 사용되는 핵심 물질이다. 섬유, 펄프산업 등 쓰임새가 넓지만 감염병 사태와 반도체 생산 수요 폭증으로 안정적 공급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과산화수소를 만드는 열화학 공정은 에너지 소 ... ...
[우주탐사 시대 활짝] 다누리, 8월 발사 후 달 궤도 진입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당시 항공우주연구원
연구진
은 최대 9번의 궤적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예상했다. 첫 궤적 수정은 발사 이틀 뒤인 8월 7일 오전 10시경 확인됐다. 이어 9월 2일(3차), 11월 2일(5차), 11월 16일(6차) 모두 성공이 확인됐다. 궤적 수정 ... ...
유용미생물·왕겨로 축산 분뇨 악취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2.12.27
슬러지 분해 공정개발 모식도. 한국에너지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왕겨와 미생물을 활용해 축산 분뇨 악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이상민 광주친환경에너지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발효 왕겨를 이용해 슬러지 분해 효율을 3.6배 ... ...
고체전해질 입자 크기 1/10로 만드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12월호 표지에 실린 고체전해질 입도 제어 기술 이미지.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
이 고체전해질 입자의 크기를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화재나 폭발 위험성이 낮아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전고체전지에 적용 가능한 입자의 크기로 줄이는 기술이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