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701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신 몸무게 300배 오줌 뿜는 곤충..."에너지 소비 전략 수립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3.03.01
곤충 ‘샤프슈터(Sharpshooter)’.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제공 곤충 ‘샤프슈터(Sharpshooter)’는 하루에 자기 몸무게의 300배가 넘는 양의 소변을 배출한다. 소변 배출에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과학자들은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 전략을 보유한 이 작은 곤충에 주목해왔다. 사드 바말라 미국 조지아 ... ...
[오늘과학] 성격 특성에 맞는 저축 방식, 저축액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개인의 성격 특성과 저축 목표가 일치할 때 저축액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샌드라 매츠 미국 컬럼비아대 전산사회학과 교수는 이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심리학회지'에 27일(현지시간) 게재했다. 2022년 미국 경제분석국은 미국인의 저축 ... ...
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늦춰질 듯..."IAEA 보고서 지연"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바닷물은 ALPS로 처리된 오염수로 삼중수소 등 방사성 물질을 계측하고 있는 것이다.
연구진
이 실험실에서 진행하는 작업은 해수에 굉장히 낮은 농도로 존재하는 삼중수소를 응축하는 과정이다. 김대지 KINS 환경방사능평가실 실장은 “해수에서 삼중수소와 같은 방사성 물질을 검출하는 기본 ... ...
뇌 신경 모방한 다진법 구현 반도체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제공 국내
연구진
이 금속(도체)에서 절연체(또는 반도체)로 상전이를 일으키는 물질의 전기저항 변화를 이용해 다진법을 구현할 수 있는 소자 기술을 개발했다. 다진법은 0과 1 두 가지 숫자로 정보를 처리하는 대신에 0, 1, 2, 3 등 네 가지 숫자로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 ...
더 정확하게 유방암 탐지하는 ‘AI 초음파'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7
포스텍 IT융합공학과 교수.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정확하게 유방암을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초음파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발했다. 포스텍은 김철홍 IT융합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B-모드’와 초음파 변형 탄성 영상을 이용해 기존보다 정확하게 유방암을 분할 및 분류하는 딥러닝 기반 다중 ... ...
코로나로 청소년 SNS 사용 증가...영향 연구는 ‘들쭉날쭉’
동아사이언스
l
2023.02.27
통해 긍정적인 행복감을 느꼈으며 10%는 열등감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발현했다.
연구진
은 “청소년 개인 고유의 특성에 따라 SNS 수용이 정서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는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집단 단위로 평균치를 내는 기존의 연구 방법이 개인적 성향에 초점을 맞추는 ... ...
살아있는 동물에서 저절로 전극이 만들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전도성 고분자(파란색). 제노폰 스트라코사스 스웨덴 린셰핑대 수석연구원 제공 스웨덴
연구진
이 젤 형태의 화합물을 살아있는 제브라피시(Danio rerio)와 포유류 체내에 주입해 스스로 전극을 형성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23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동물의 체내 ... ...
'인공태양' 핵융합 발전 12년 뒤 실증로 건설...상용발전소는 2050년대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밖으로 새어 나가면 플라즈마를 싸고 있는 물질들도 녹을 수 있다. 전 세계 핵융합
연구진
들의 당면 과제다. 유 본부장은 결국 플라즈마의 빛에서 핵융합 상용화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플라즈마는 가시광에서 엑스레이 영역까지 다양한 빛을 낸다”며 “이 빛들을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대한 효소의 접근성을 개선해 효율적으로 당을 배출할 필요가 있다. 산림과학원
연구진
은 리그닌 생합성 유전자를 교정해 리그닌이 감소된 포플러를 개발했고 격리포장에 식재해 매년 재질 분석을 통해 가치를 평가하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2년생 포플러는 리그닌이 최대 29%가 감소했고 당화 ... ...
옷 안에 착용하는 보행 보조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좌우 걸음 비대칭 각도를 5도 미만으로 교정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동
연구진
인 김정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공기압과 지면반력을 활용하는 지면반력센서 원천기술을 개발해 로봇에 적용했다. 지면반력이란 지면에 힘을 가했을 때 생기는 반작용력을 말한다. 이동연 서울대병원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