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유전자"(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2016.12.29
- 프레이서 박사팀이 수년간 고생한 끝에 GFP 유전자 사냥에 마침내 성공했다. 그에게서 GFP 유전자를 지닌 대장균을 받은 컬럼비아대 마틴 찰피 교수는 1994년 촉각수용체세포에서만 녹색 형광이 나오는 예쁜꼬마선충을 만들어 ‘사이언스’에 보고했다. 첸 역시 프레이서에게서 대장균을 받았고 ... ...
- 조류독감, 발병의 주범은 오직 ‘철새’?2016.12.22
- N1형’으로, 1996년 중국 광동 지역 거위에게서 처음 발견됐습니다. 1997년 이 바이러스는 유전자 일부에서 변이가 일어났고 급속도로 퍼져 심지어 사람도 감염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이 바로 유명한 1997년에 홍콩에서 유행했던 ‘홍콩 조류독감’ 이야기 입니다. 당시 홍콩에서만 사람 1 ...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연구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어린 시절 선물 받은 책, 제임스 왓슨의 '유전자의 분자생물학'을 보고 자신이 원하는 길을 결정했다고 이야기했다. 이어서 생쥐에서 표현형을 유발하는 돌연변이원을 거의 즉각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던 이야기와 이를 통해 돌연변이로 유도된 수백 ... ...
- 242억 원 짜리 다이아몬드, 어떻게 생겨났을까동아사이언스 l2016.12.18
- 후각보다 시각에 의지해 먹이를 찾는다. 해마의 가장 독특한 특성인 수컷 임신과 관련한 유전자는 수컷 해마가 가진 주머니 ‘육아낭’에서 가장 많이 발현된다는 것 역시 확인됐다. 연구진은 “해마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어류”라며 “‘호랑이 꼬리 해마’는 ... ...
- 그린란드 빙하, 완전히 녹아 사라졌던 시기 존재한다동아사이언스 l2016.12.11
- KFSHRC) 연구진은 이 가족의 DNA 표본을 분석한 결과, 아이들의 부모가 ‘ADAT3’라는 유전자의 DNA가 한 쌍이 아닌 한 가닥만 존재하는 돌연변이를 가졌다고 분석했다. 이 결과 부모 자신에게는 문제가 없지만, 이 이 형질을 물려받은 아이들은 일부 DNA를 단백질로 변형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히잡, ... ...
- [지뇽뇽의 色수다] (ep3) 키스의 과학2016.12.11
- 한다. ‘냄새’의 경우도 중요한데, 여성들의 경우 자신의 면역 유전자와 가장 반대되는 유전자 프로필을 가지고 있는 남성의 땀냄새를 좋게 느낀다고 한다(Wedekind et al., 1995). 이와 같이 키스를 통해 본능적으로 느끼는 호불호를 통해서도 상대방과 나의 유전적 적합성을 어느정도 판단할 수 있다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2016.12.05
- 대해서도 여전히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지만 수면과 관련된 신경회로와 함께 유전자도 하나 둘 밝혀진다면 머지않아 잠과 꿈의 미스터리가 풀릴 수도 있지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2016.11.28
- 비해 단일염기다형성(SNP), 즉 변이가 많이 일어나 있다. 그 결과 같은 수용체라도 유전자가 A형은 인식하는 냄새분자를 B형은 인식하지 못할 수가 있다. 결국 똑 같은 냄새 환경에 있더라도 우리 모두는 각각 다른 식으로 냄새 정보를 입수하는 셈이다. 이런 감각 차원의 구조적인 문제에 더해 감각 ... ...
- 美서 합법인 대마초, 뇌 보상시스템 망가뜨린다동아사이언스 l2016.11.20
- 유전자를 추가로 주입해 식물이 에너지를 빨리 생산하게 한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유전자조작 담배는 이산화탄소 흡수율이 11~14%, 광합성 효율이 14~20%까지 증가했다. 롱 교수는 “지금부터 식량부족을 대비해야 한다”며 “광합성 효율을 높일 방법을 게속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표범의 추억2016.11.08
- 생존에 결정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반면 소과에서 냄새를 맡거나 인지기능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잘 보존돼 있어 식물의 독에 대한 방어메커니즘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고양잇과에 속하는 종들은 인간과나 소과에 속한 종들에 비해 유전적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표범과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