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스페셜
"
유전자
"(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콜레라의 경우도 네 번째는
유전자
지문 분석결과 콜레라독소
유전자
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이번처럼 콜레라독소가 없더라도 다른 메커니즘으로 설사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하나 흥미로운 경우는 같은 콜레라균에 감염됐더라도 사람에 ...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
IBS
l
2016.09.01
움직이는 데 성공해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금으로 만든 단단한 뼈에 광활성
유전자
를 가진 쥐의 심장근육세포로 이뤄진 탄탄한 근육을 연결하고, 실리콘고무로 만든 부드러운 피부를 덮어 10원짜리 동전보다 작은 가오리 모양의 로봇을 제작했다. 청색 빛을 쪼이면 전기신호를 만들며 ... ...
유전자
하나만 꺼도 무더위 못 느낀다
2016.08.22
실험결과인데 이를 사람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 아마도 그럴 것이다. 즉 이들 온도센서
유전자
들은 사람에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만일 TRPM2의 활성을 억제하는 약물이 나온다면 무더위의 불쾌함에서 해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그 부작용으로 일사병 환자들이 급증하겠지만. ※ 필자소개 ... ...
유전자
변이 740만개 찾았다… 역대 최대 규모 연구결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6.08.21
연구진은 이 질환들이 생길 때 신경세포를 보조하는 ‘신경교세포’에서 몇 가지
유전자
와 단백질이 덜 발현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마지막 논문은 뇌가 충격을 받아 기능이 일시적으로 멈춘 ‘외상성 뇌 손상(TMI)’ 상태일 때 면역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다뤘다. 지금까지는 TMI가 생기면 인체가 ... ...
화학계의 알파고, 케마티카(Chematica)를 탄생시키다
IBS
l
2016.08.03
가득했다. 사이푸 초대와 연구에 대한 열정에 대해 그쥐보프스키 그룹리더는 "나의
유전자
속에는 '흥미'를 따라가는 녀석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평소에도 그는 연구원들에게 취미처럼 재미있게 흥미롭게 일하는 사람들과 함께 연구하라고 강조한다. 과학을 이해하고 공부하기는 어렵지만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름다운 화음? 그건 ‘문화’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16.07.31
함께 공생하는 지의류를 처음 발견하고 추가로 전 세계 6개 대륙에서 지의류들을 수집해
유전자
를 분석했다. 그 결과 효모와 균류, 조류가 공생하는 지의류 52종을 발견했다. 지의류의 구성원들은 각각 맡은 역할이 다르다. 균류는 ‘집’을 만들어 추위나 더위, 가뭄에 견딜 수 있는 보호막을 ... ...
새 ‘단백질 구조’ 설계… 신개념 약물전달물질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4
만들 수 있는지 검증 실험을 진행했다. 구조체를 이루는 단위 단백질을 만드는 합성
유전자
를 박테리아에 삽입했다. 이 결과 박테리아에서 합성된 단백질을 추출해 이들 단백질의 효소 작용, 접기 등 자기조립을 이용해 이십면체 구조를 만들어냈다. 베이커 교수는 “매우 복잡한 구조임에도 ... ...
형제자매는 라이벌인가?
2016.07.23
수는 없다. 더욱이 유전학적으로 보면 형제자매야말로 세상에서 자신과 가장 유사한
유전자
로 신체를 이루고 있다. 그런 점에서는 부모보다도 더 가까운 신체적 동질 관계인 것이다. 그래서 이 땅의 슬픈 역사―분단 현실의 직접 당사자인 이산가족이 상봉할 때면 헤어졌던 형제자매가 부둥켜안고 ... ...
미래 신소재 그래핀 자유자재로 접는 방법 찾았다
2016.07.17
이용해 스스로 접히는 그래핀 ‘구조체(오리가미)’를 만드는데도 성공했다. 단백질이나
유전자
에서 흔히 보던 구조를 그래핀으로 만든 셈이다. 연구팀은 “복잡한 조건이 필요없고 상온에서도 만들 수 있는 구조라서 다양한 활용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우상 기자 idol@donga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가오리와 같은 근육 조직을 만들었다. 연구진은 머리 부분에 위치한 심장근육세포의
유전자
를 조작해 광 활성을 띠도록 만들었다. 여기에 청색광을 쪼이면 전기신호가 몸 전체로 퍼져나가면서 근육이 순차적으로 수축하고 이완하며 가오리 로봇이 헤엄을 치게 된다.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 없는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