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스페셜
"
유전자
"(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지식IN] 봄꽃 앞다퉈 피는데… 우리 집 화분은 왜 아직 겨울잠?
동아사이언스
l
2017.04.07
하루 동안 태양빛을 받는 시간을 스스로 파악해, 낮 길이가 점점 길어질 때 개화
유전자
가 발현되고 꽃봉우리가 맺힙니다. 지난해 성장 상태에 따라 꽃을 피울지 말지 결정하기도 합니다. 집에서는 아무래도 화원만큼 햇빛이나 온도를 잘 관리하기 어렵죠. Q. 꽃을 피우기 어렵다면 구경이라도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필터에 큰 세포가 걸러진다. 걸러진 세포가 암세포인지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전자
분석을 통해 어떤 항암제를 쓰면 좋은지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환자 맞춤형 정보를 줄 수 있는 간편한 장비를 개발한 것이다. 연구진은 부산대학교병원과 함께 FAST 디스크로 다양한 암환자 142명과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증명됐다. 연구성과는 에 2016년 12월 게재됐다. 다양한 개화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견은 식물의 개화 시기 조절 메커니즘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PWR 단백질의 작용과 같이, 식물은 후성유전학적으로 DNA에 담긴 유전정보의 변화 없이도 자신의 생애 전반에 걸친 중요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세 그룹이 나뉜 뒤 독자적으로 진화했다는 말이다(역시
유전자
수평이동을 통해 관련
유전자
를 획득했을 것이다). 산소호흡은 외부의 산소농도가 어느 정도 높는 환경에서 쓸모가 있으므로 시기적으로도 말이 된다. 이번 연구결과가 산소발생 광합성 시기 논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 아직 ... ...
암 전이에 핵심 역할하는 줄기세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2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Lgr5 단백질을 만드는 줄기세포다. 연구진은 실험용 쥐를
유전자
조작해 ‘Lgr5+ 줄기세포’가 디프테리아독소(diphtheria toxin·DT)를 잘 받아들이도록 만들었다. 디프테리아독소는 디프테리아라는 세균이 만드는 독성 물질로, 세포를 죽이는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장 피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체내항상성 유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즉 골 질량의 증감과 리포칼린2
유전자
발현량이 연동돼 몸이 영양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알려줘 이에 맞는 행동을 하게 유도한다는 말이다. RNA를 만드는 재료 가운데 하나인 우리딘(uridine)이 ‘굶주림 신호분자’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 ...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JCVI-syn1.0’(왼쪽). 최근에는 여기서 게놈(유전체) 양을 더 줄여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유전자
만 남긴 ‘JCVI-syn3.0’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름에서 ‘syn’은 인공적으로 ‘합성(synthesis)’ 했다는 뜻이다. - 사이언스 제공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지원받았고, 세계적인 면역학자로 인정받는 안자나 라오(Anjana Rao) 교수의 지도하에 IL10
유전자
발현조절 기작에 대한 분자 수준의 후성유전체학적 역할에 대한 연구에 몰두했다. 임 그룹리더는 '면역 질환 치료제 개발'이라는 꿈을 위해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 IBS 제공 '유산균 5형제'를 뛰어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단백당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당백당(proteoglycan)은 단백질과 당으로 이뤄진 복합분자다.
유전자
발현 패턴을 비교한 결과도 이런 분석 결과와 잘 맞았다. 힘줄뼈부착부위 부근을 도식화한 그림으로 왼쪽부터 뼈, 경계면(힘줄뼈부착부위), 힘줄이다. 최근 연구결과 힘줄뼈부착부위는 강력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했다. 곤충의 인지 능력을 입증하는 실험은 많이 있었지만 이는
유전자
에 각인된 정형화된 행동일 뿐이라는 해석이 있다. 연구자들은 레슬링 경기장처럼 생긴 파란색 원형 바닥에 노란 공을 하나 놓고 뒤영벌이 공을 굴려 5분 안에 가운데 원 안에 놓으면 설탕물을 먹을 수 있게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