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스페셜
"
유전자
"(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2m 길이 DNA가 4㎛ 세포핵에 쏙 들어가는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것은 생물학 분야의 난제 중 하나였다”며 “변형되기도, 중합하기도하는 DNA의 구조는
유전자
기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첫 사례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사람의 게놈에는 이들 단백질의
유전자
에 해당하는
유전자
가 있기 때문에 사람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습도를 지각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영국 러프버러대 환경인간공학연구소 데이비드 필링게리 박사는 지난 2015년 학술지 ‘신경생리학저널’에 발표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뇌로 들어가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 같은 뉴로트로핀(neurotrophin)과 성장인자를 만드는
유전자
의 발현을 촉진해 그 결과 신경 생성과 시냅스 형성 같은 인지력 향상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즉 머리를 안 쓰는 운동을 하거나 몸을 움직이지 않는 정신 활동을 하는 게 나름 인지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
2017.07.16
환경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을 이른바 게놈 지연(Genome lag)이라 합니다. 우리
유전자
에 뿌리깊게 자리잡은 내집단 선호의 본성은, 이제 유효기간이 다한 진화적 잔재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리 튼튼하게 만든 성이라 해도, 사람이 없어지면 곧 허물어진다. 그러나 아무리 허술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음식들의 혈당지수는 평균값일 뿐 개인에 따라 그 폭이 크다. 이는 사람마다 소화효소
유전자
의 유형과 발현량이 다르고 영양 섭취의 한 축을 담당하는 장내미생물의 조성도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바나나와 쿠키의 경우 언뜻 생각하면 바나나가 혈당지수가 낮을 것 같지만 그 반대인 사람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버닛은 어느 날 클론선택이라는 기발한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즉 개체 발생 과정에서
유전자
재조합으로 각각 고유한 항체를 만들 수 있는 수백 만 가지 면역세포가 만들어지는데 우리 몸의 물질과 결합할 수 있는 세포(클론)는 소멸되거나 활성을 잃게 된다. 따라서 남아 있는 면역세포들은 우리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⑦ 할머니, 할아버지의 날은 왜 없을까
2017.05.07
할머니가 손주에게 적응적 이득을 주었을 것이고, 이를 통해서 보다 장수하는 여성의
유전자
가 선택되었다는 것이죠. 논란이 분분한 가설이지만, 상당히 설득력이 있습니다. 사실 인간의 긴 노년기가 가지는 진화적인 목적은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사실 60세 이후는 퇴행이 지속되는 비기능적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할 때 생판 남이 부모자식과 형제자매보다 면역적합성이 높은 경우가 있는 것처럼 얼굴
유전자
들의 조합에서도 우연한 일치가 나올 수 있다는 말이다. 프루스트가 15세기 그림에서 본 인물과 그가 같은 유형으로 지목한 동시대의 신사도 그런 관계가 아닐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그럼에도 이런 관계를 살펴보면 오싫모의 생물적 기반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유전자
의 SNP가 냄새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예로 냄새수용체 OR7D4가 있다. OR7D4는 수퇘지의 페로몬인 안드로스테논을 감지하는데 수용체 단백질의 88번째 아미노산이 아르기닌(R)이냐 트립토판(W)이냐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마뱀은 어떻게 자기 고유의 무늬를 만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제목의 논문을 발표합니다. 제목만 봐서는 내용을 가늠하기 어렵지만, 이 논문에 따르면
유전자
안에 들어있는 ‘형태소’라는 세포 속 요소(피부 색소)가 서로 확산하고 반응한 결과, 동물 피부에서 다양한 무늬가 생긴다는 내용입니다.(관련 기사 ☞ 수학동아 2015년 3월호 나는 수학자다 앨런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