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roject
기획안
프로젝터
프로
연구과제
사업안
d라이브러리
"
프로젝트
"(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一石二鳥(일석이조)란 이런 것!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작업을 해냈다. 누군가 특이한 점을 발견하면 천문학자들이 따로 조사하기도 한다. 이
프로젝트
를 업그레이드한 ‘갤럭시 주2’도 2009년에 문을 열었다.과학자들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정보의 양이 늘어나고 인터넷과 같은 일반인 참여 수단이 발달하면서 시민 과학의 중요성은 더 커질 전망이다. ... ...
내가 제안한 실험을 진짜 우주에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대륙별 예선을 거쳐 최종 선발된 두 팀의 실험을 실제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실행하는
프로젝트
를 연다. 개인 혹은 팀으로 참여할 수 있다. 생물학·물리학과 관련된 실험 과제, 가설 설정, 우주의 극미중력 내에서 실험하는 방법, 예상 결과를 간단한 설명을 포함한 2분 내외의 동영상으로 제작해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프로젝터와 소리를 감지하는 음향 센서가 달려 있다.이두박근 부분에 밴드를 차고 소형
프로젝트
를 켜면 팔뚝에 키보드, 메뉴 등의 그래픽이 뜬다. 사용자가 이미지들을 손가락으로 ‘톡톡’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소리를 음향센서가 잡아낸다. 이 작은 파열음은 몸 안으로 퍼지는 동안 골밀도와 ...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두 연구단체의 책임자들이었다. 솔 펄머터가 1988년부터 이끌던 ‘초신성 우주론
프로젝트
(Supernovae Cosmology Project)’와, 1990년경부터 브라이언 슈밋과 애덤 리스가 함께 주도한 ‘High Z SN Search Team’이다. 이들은 최초로 우주의 가속팽창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지금까지 ... ...
“정글 성큼성큼 걷는 거대로봇 만들 겁니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번에도 떨어지면 어떡하나 싶어 눈물을 흘렸다고 털어놨다. 지금은 50억 원이 넘는 연구
프로젝트
를 진행하고 있다.“하는 일이 너무 즐겁고 신나요. 취미라고 생각하니까 밤낮 열심히 해도 지루하지 않죠. 월급 받지 않아도 상관없어요. 이거 총장님이 보면 안되는데(웃음). 자기 분야에서 1인자가 ... ...
자신감이 공부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가려고 할까? 좋은 대학의 물리학과에 가면 교수님도 훌륭하지만 여러 가지 연구
프로젝트
에 참여할 기회가 많아. 그런데 이런 대학에 못 가면 기회가 줄어든단다.” 현재 대입은 ‘내신+특기’로 이뤄져 있다. 상담 선생님은 내신은 기본이고 특기에서 물리나 관심 분야에 대한 열정을 보이는 것이 ... ...
위기에 처한 남태평양을 구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또 연구센터는 축 지방정부 수산국과 협력해 해양보호구역
프로젝트
를 하고 있다. 과거 중국의 원양어선들이 이곳에서 해삼을 싹쓸이해 갔다. 축 수산국은 해양보호구역을 설정하려고 했지만, 경험이 없고 현지 주민들의 이해부족으로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지 못했다. ... ...
Hackers Use Heat from Fingertips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밝혔다. 모워리가 동료인 새라 마이클존 및 스테픈 새비지 교수와 공동 연구한 이번
프로젝트
는 널리 알려진 보안관련 연구전문가 마이클 잴레브스키의 선행연구에 기초한다. 잴레브스키는 2005년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해 키패드 열쇠를 사용하는 금고의 비밀번호를 해킹했다. 그는 금고를 사용한지 ... ...
세계 최대 실험용 핵융합로 재가동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번 업그레이드는 유럽연합과 스위스 등 27개 나라 350여 명의 연구진들이 참여한 공동
프로젝트
로 진행됐다. 8만 6000개의 부품을 교체했고, 출력을 50%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를 변경했다. 핵융합은 플라스마 온도가 최소 1억℃가 돼야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온도를 높이는 ... ...
최종병기 天弓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통합 등 모든 기술이 잘 어우러져야 한다. 개발예산이나 개발기간도 만만치 않은 대규모
프로젝트
다. 국방과학연구소는 천마와 신궁 개발 성공을 바탕으로 2000년부터 중거리 지대공유도무기 천궁 개발을 계획했다.5년의 연구 끝에 개발한 ‘천궁’은 기존의 호크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