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roject
기획안
프로젝터
프로
연구과제
사업안
d라이브러리
"
프로젝트
"(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마법의 양탄자, 차세대 도시의 공통점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프로젝트
를 ‘세계적인 만우절 거짓말’이라고 비꼬기도 했다.아직까지 실현되지 못한
프로젝트
이지만, 마법의 양탄자처럼 언젠가는 쿠션도시에도 한 걸음씩 가까워질 날이 오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쿠션 테크놀로지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Part2. 마법의 양탄자, ... ...
세계 유명 미술관 수학으로 미리 가 본다!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있어 우리나라 주요 문화재를 같은 방식으로 감상할 수 있다.이런 스토어뷰와 아트
프로젝트
는 다음과 구글의 지도 서비스인 와 를 실내까지 연장한 서비스다. 로드뷰와 스트리트뷰는 세계 각지와 한국의 거리 를 360° 파노라마 사진으로 촬영해 골목 구석구석까지 생생히 보여 ... ...
창의적인 서울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2~3년이 걸리는 단기
프로젝트
부터 7~8년 동안 추진할 장기
프로젝트
까지 총 40여개의
프로젝트
를 담았다. 성곽을 복원하고 사대문 곳곳에 남아있는 한옥골목을 보존하는 등 서울 곳곳에 드러나 있지 않은 자연과 역사문화유산의 의미를 찾는 계획이다.“원래 계획과 조금 다른 방향으로 진행됐지만 ... ...
2012 FLL KOREA 현장 속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것이다. 조영도(경기 안산시 상록중 3학년) 학생은 “로봇 설계와 식품에 대한 공부, 두
프로젝트
를 함께 준비하는데 꼬박 한 달을 썼지만 그만큼 식품과 식품미생물에 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고 소감을 말했다. 김태호(인천 서운동 계수중 1학년) 학생도 “학교에서 배우는 과학은 멀게만 ... ...
프로젝트
를 ‘장악’하는 힘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장악해야 하는지 조금은 알 것 같았다.필자는 지금 경영위치 건축사사무소에서
프로젝트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다. 여전히 일요일에는 선배들과 토론하고 작업한다. 최근에는 국립중앙박물관 앞 버스정거장 설계에 우선 협상작으로 당선돼 개인적으로도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다. 2년간의 연구실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임무가 있습니다.”‘스위스 파빌리온’이라는 이름으로 2012여수세계박람회에 참가하는
프로젝트
를 담당하는 올리비에 루스 씨는 한국에서 온 기자단에게 스위스가 ‘바다엑스포’에 참가하는 이유를 명쾌하게 설명했다. 스위스 파빌리온은 이번 엑스포에서 빙하와 강, 호수를 깨끗하게 지키는 ... ...
Intro. 우주의 불꽃축제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관측 장비를 위성에 실어 쏘아 올린다. 차세대 감마선폭발 연구의 출발점이 될 유포
프로젝트
에 대해서도 자세히 살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의 불꽃축제 감마선폭발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과학 아이디어로 얼마든지 우주과학 분야에서 세계와 경쟁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유포
프로젝트
에서 한국은 NASA의 스위프트 이후 차기 감마선폭발 관측 실험을 주도할 수 있는 최상의 기회를 잡았다. 향후 독보적인 업적을 거둘 것은 물론 우리나라가 이 분야를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관련기사를 ... ...
그가 만인 앞에서 ‘벌거벗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나에 대한 모든 것이 누군가(그것도 전문가 그룹인 과학자)에게 공개된다면? 개인게놈
프로젝트
는 바로 이런 의미였다. 비싼 돈을 주고 민간 우주선에 탑승해 달을 구경하고 오는 호사가스러운 취미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형태의 모험이다. 만인 앞에 ‘벌거벗은’ 상태가 되는 두려운 시도다.저자는 ... ...
건설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더 자세히 배운다. 각 세부전공은 2~4명의 교수가 지도한다. 건설환경공학부는 주로 국가
프로젝트
연구를 담당하며 이를 바탕으로 석·박사 학위 논문을 쓴다. 대학원 졸업 후에는 학계는 물론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나 한국환경정책연구원과 같은 국책연구소에 진출할 수 있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