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젝트"(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친구와 함께 공부하는 힘을 키운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생활자세를 가질 수 있다.공부하는 힘! 구덕고가 키운다구덕고는 2008년 ‘학력신장 프로젝트’ 수행학교로 선정된 이후 2008년, 2009년 학력향상 우수학교로 뽑혔다. 교육청과 사상구청의 풍부한 지원을 바탕으로 교사들은 학생들의 학력을 키우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우선 학생들이 목표를 세우고 ... ...
- Fly High! 날아올라 볼까?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회사는 헬륨가스 풍선을 이용한 기구를 타고 성층권까지 올라가 우주와 지구를 감상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해요.19세기 사진가 나다르(Nadar, 1820~1910)는 최초로 열기구를 사용해서 공중촬영을 시도하기도 했죠. 열기구는 요즘은 이동수단으로는 잘 쓰이지 않고 주로 레저, 관광용으로 ... ...
-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꿈꾸는 디자이너, 요리스 라만수학동아 l2012년 02호
- 깎아 내는 데만 200시간을 투자했다.도전! 반딧불 효소로 만든 전구라만은 새로운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다. 반딧불이가 불을 밝히는 효소를 이용한 전구를 만들어 새로운 조명 기구를 디자인할 계획이다. 가장 천연적인 조명에서 얻은 아이디어로, 조명을 만든다는 기발함이 놀랍다.“제 오랜 꿈은 ...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시달리는 과학자들에게는 매력적이다.‘분산 컴퓨팅’ 기술로 단백질 구조를 해석하는 프로젝트인 ‘폴딩@홈’도 플레이스테이션3를 이용한다. 분산 컴퓨팅은 인터넷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의 연산 능력을 활용해 복잡한 계산 문제를 푸는 기술이다. 폴딩@홈은 단백질이 접히는 모습을 ...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과학동아 l2012년 02호
- 뇌의 부피 성장은 거의 완성된다. 그렇지만 청소년 뇌의 내부는 아직 갈 길이 멀다.이 프로젝트가 밝힌 가장 중요한 내용은 청소년의 뇌발달 속도가 부분에 따라 상당히 다르다는 것. 기드 박사팀은 1999년 뇌과학저널인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이런 결론에 도달하게 된 데이터를 담은 논문을 ... ...
- 창의적 연구, 즐거운 성취감!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이에 비할 바가 아니다. 이것이 바로 하나의 주제와 맥락을 갖고 활동을 이어가는 프로젝트 학습이다. 입학사정관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이다. 열정적인 아트 사이언스반의 멋진 미래를 기대한다. [조도계와 컴퓨터를 이용해 빛 과 심리를 연구했다. ...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수학동아 l2012년 01호
- 흐를수록 라면은 점점 고급화 되었고, 종류도 다양해졌어.차치수의 '라면 정복하기' 프로젝트❹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라면을 만들어라!온도와 시간을 계산하라!너 말 잘했다. 라면은 ‘잘 끓이는 것’이 중요해! 끓는점을 고려하면 더 맛있는 라면을 끓일 수 있거든. 소금물의 끓는점이 맹물의 ... ...
- 근육로봇의 탄생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문어 다리의 움직임을 따라하는 문어로봇을 개발 중이다. 이 연구의 이름은 ‘옥토봇프로젝트’다.]로봇, 벼룩처럼 뛰다생물의 움직임을 따라하는 것은 쉽지 않다. 단순해 보이는 문어다리라도 그 안에는 조이는 근육, 펴는 근육 등 여러 근육이 있다. 문어로봇은 아직 문어의 모든 근육의 움직임을 ...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있는 강병화 교수. 강 교수와 동료 연구자들은 가시박의 생태와 방제법을 연구하는 프로젝트를 막 시작했다.]“여기 좀 보세요. 이게 다 가시박입니다.”드넓은 억새밭이 장관인 하늘공원은 과거 이곳이 쓰레기매립장이었다는 게 상상이 가지 않았다. 그런데 억새밭을 벗어나 한강이 바라다 보이는 ...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재정의하려는 국제 연구는 ‘아보가드로 프로젝트’라는 이름이 붙었다.아보가드로 프로젝트에서는 특정한 원소의 원자 몇 개가 1kg인지 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반도체 소재인 실리콘을 선택했다. 반도체 기술로 실리콘을 가공하는 기술이 많이 발전돼 있어서다. 연구팀은 1kg짜리 실리콘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