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roject
기획안
프로젝터
프로
연구과제
사업안
d라이브러리
"
프로젝트
"(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임무가 있습니다.”‘스위스 파빌리온’이라는 이름으로 2012여수세계박람회에 참가하는
프로젝트
를 담당하는 올리비에 루스 씨는 한국에서 온 기자단에게 스위스가 ‘바다엑스포’에 참가하는 이유를 명쾌하게 설명했다. 스위스 파빌리온은 이번 엑스포에서 빙하와 강, 호수를 깨끗하게 지키는 ... ...
그가 만인 앞에서 ‘벌거벗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나에 대한 모든 것이 누군가(그것도 전문가 그룹인 과학자)에게 공개된다면? 개인게놈
프로젝트
는 바로 이런 의미였다. 비싼 돈을 주고 민간 우주선에 탑승해 달을 구경하고 오는 호사가스러운 취미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형태의 모험이다. 만인 앞에 ‘벌거벗은’ 상태가 되는 두려운 시도다.저자는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과학 아이디어로 얼마든지 우주과학 분야에서 세계와 경쟁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유포
프로젝트
에서 한국은 NASA의 스위프트 이후 차기 감마선폭발 관측 실험을 주도할 수 있는 최상의 기회를 잡았다. 향후 독보적인 업적을 거둘 것은 물론 우리나라가 이 분야를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관련기사를 ... ...
건설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더 자세히 배운다. 각 세부전공은 2~4명의 교수가 지도한다. 건설환경공학부는 주로 국가
프로젝트
연구를 담당하며 이를 바탕으로 석·박사 학위 논문을 쓴다. 대학원 졸업 후에는 학계는 물론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나 한국환경정책연구원과 같은 국책연구소에 진출할 수 있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 ... ...
창의적 연구, 즐거운 성취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에 비할 바가 아니다. 이것이 바로 하나의 주제와 맥락을 갖고 활동을 이어가는
프로젝트
학습이다. 입학사정관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이다. 열정적인 아트 사이언스반의 멋진 미래를 기대한다. [조도계와 컴퓨터를 이용해 빛 과 심리를 연구했다.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뇌의 부피 성장은 거의 완성된다. 그렇지만 청소년 뇌의 내부는 아직 갈 길이 멀다.이
프로젝트
가 밝힌 가장 중요한 내용은 청소년의 뇌발달 속도가 부분에 따라 상당히 다르다는 것. 기드 박사팀은 1999년 뇌과학저널인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이런 결론에 도달하게 된 데이터를 담은 논문을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문어 다리의 움직임을 따라하는 문어로봇을 개발 중이다. 이 연구의 이름은 ‘옥토봇
프로젝트
’다.]로봇, 벼룩처럼 뛰다생물의 움직임을 따라하는 것은 쉽지 않다. 단순해 보이는 문어다리라도 그 안에는 조이는 근육, 펴는 근육 등 여러 근육이 있다. 문어로봇은 아직 문어의 모든 근육의 움직임을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재정의하려는 국제 연구는 ‘아보가드로
프로젝트
’라는 이름이 붙었다.아보가드로
프로젝트
에서는 특정한 원소의 원자 몇 개가 1kg인지 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반도체 소재인 실리콘을 선택했다. 반도체 기술로 실리콘을 가공하는 기술이 많이 발전돼 있어서다. 연구팀은 1kg짜리 실리콘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흐를수록 라면은 점점 고급화 되었고, 종류도 다양해졌어.차치수의 '라면 정복하기'
프로젝트
❹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라면을 만들어라!온도와 시간을 계산하라!너 말 잘했다. 라면은 ‘잘 끓이는 것’이 중요해! 끓는점을 고려하면 더 맛있는 라면을 끓일 수 있거든. 소금물의 끓는점이 맹물의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있는 강병화 교수. 강 교수와 동료 연구자들은 가시박의 생태와 방제법을 연구하는
프로젝트
를 막 시작했다.]“여기 좀 보세요. 이게 다 가시박입니다.”드넓은 억새밭이 장관인 하늘공원은 과거 이곳이 쓰레기매립장이었다는 게 상상이 가지 않았다. 그런데 억새밭을 벗어나 한강이 바라다 보이는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