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558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에도 여름엔 물 흐른다
2015.09.30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액체 상태의 물은 생명이 살기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인 만큼
미생물
이 과거에 생존했거나 오늘날에도 생존할 가능성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며 “훗날 물이 있는 화성 표면을 탐사할 때 혹시 존재할지 모를 화성 생태계를 해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먹이 사슬을 한눈에 보다
수학동아
l
2015.09.25
얼룩말이 뜯어 먹습니다. 얼룩말은 육식동물인 사자가 잡아먹습니다. 사자가 죽으면
미생물
이 사체를 분해해 땅을 비옥하게 만듭니다. 그리고 다시 땅에서 풀이 자라나지요. 이런 자연의 법칙을 한 눈에 볼 수 있을까요? 미국 프린스턴대 생태진화생물학과 앤드류 돕슨 교수팀은 생태계의 먹이 ... ...
올해 노벨과학상… 여성 수상자 대거 나올까
2015.09.25
휘팅햄 미국 빙엄턴대 교수가 노벨 화학상 수상 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인간과 장내
미생물
사이의 관계를 입증한 제프리 고든 미국 워싱턴대 교수는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 후보로 꼽혔다. ... ...
적게 먹으면 오래 산다? 이유 있었네
2015.09.22
상식이다. 국내 연구진이 상식을 과학적으로 풀어 이유를 밝혀냈다. 김정윤 충남대
미생물
․분자생명과학과 교수팀은 노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써투(Sir2) 단백질이 소식을 할 때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써투 단백질은 다양한 실험 생물의 수명을 ... ...
휘발유 대체물질 ‘바이오부탄올’ 상용화 가능성 높였다
2015.09.22
결과 사이올레이즈가 산소원자를 붙였다 떼는 ‘산화-환원 스위치’ 역할을 하면서
미생물
의 생산 활동을 돕는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성과를 응용해 효율이 높아진 바이오부탄올 생산시스템을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이 교수는 “바이오부탄올을 만드는 데 가장 ... ...
인류를 만든 건 ‘젤나가’일까?
2015.09.13
‘맨 오브 스틸’ 등으로 대중에게도 익숙해진 SF용어인 ‘테라포밍’은 지구의
미생물
과 식물 등을 보내 척박한 외계 행성을 인간이 살 수 있는 환경으로 바꿔놓는 기술을 말한다. 미지 문명의 테라포밍에 의해 지구가 현재와 같은 모습이 됐으며, 생명체가 싹트기 시작했다고 상상해 본다면, ... ...
슈퍼 박테리아, 대변 이식으로 막는다
2015.09.09
과 다중약제 저항성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에 감염된 생쥐에게 건강한 쥐의 대변
미생물
군총을 3일 동안 꾸준히 투여했다. 그 결과, 하루 만에 슈퍼 박테리아들이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7일 뒤에는 다중약제 저항성 폐렴간균이 거의 사라졌고 반코마이신 저항성 장구균은 60%의 쥐에서 완전히 ... ...
수학으로 ‘생체리듬’ 설계했더니, 실제로 움직여
2015.08.28
2개를 설계해 안정적인 생체리듬을 구현했다”며 “아직은 기초 단계지만 앞으로
미생물
을 이용해 의료용 물질을 생산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매슈 베닛 교수팀이 김재경 KAIST 교수의 설계를 토대로 만든 인공 생명체. 두 종류의 형광 단백질이 활성과 ... ...
이상엽 KAIST 교수, ‘세계최고 응용생명과학자 20人’ 선정
2015.08.26
500여 편의 학술지 논문을 게재했다. 580여 건의 특허도 등록 및 출원한 바 있다. 또
미생물
을 이용한 화학물질 생산 시스템을 다수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교수는 아시아권에선 유일하게 선정됐다. 호주 연방과학원(CSIRO)의 서린더 싱 박사를 제외하면 다른 18명은 모두 미국인 과학자다. 이 ... ...
내 목에 사는
미생물
로 정신병 진단할 수 있다?
2015.08.25
글루타민산염과 비타민 B12 등의 대사 비율이 높았다. 연구팀은 “우리 몸에 사는
미생물
이 신체 건강 뿐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라면서도 “인과관계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고 표본 수가 적은 것이 이번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