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619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변이 740만개 찾았다… 역대 최대 규모 연구결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6.08.21
태아의 뇌에 장애를 일으키는 과정을 다뤘다. 임신 중 모체가 병원균에 감염되면 장내
미생물
이 변화하면서 면역계가 활성화된다. 이 면역세포가 태아의 뇌로 들어가 신경세포를 파괴한 끝에 자폐증, 조현증, 불안장애, 우울증, 양극성장애 등을 일으킨다. 두 번째 논문은 중추신경계 세포와 ... ...
바닷속 해조류 이용해 ‘청정연료’ 수소 만든다
2016.08.05
갈락토스를
미생물
로 반응시켜 수소를 분리했다. 이 과정에서 수소 생성균 이외에 다른
미생물
이 자라는 것을 막고 반응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멸균이 필요하다. 이는 하수처리과정에서 생긴 찌꺼기를 섭씨 90도의 온도로 30분간 가열해 반응기에 섞어 넣는 방식으로 해결했다. ... ...
세균 싹~ 잡는다던 트리클로산, 왜 치약에서 사라졌을까
2016.07.31
먹이로 섭취하지만 사람은 바로 씻어내기 때문에 영향이 없는 것”이라며 “특히 사람의
미생물
은 트리클로산에 어느 정도 적응했기 때문에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보존제와 항생제 역할을 모두 할 수 있으면서 가격도 적당한 물질이 ... ...
화성탐사에 활용 가능한 ‘휴대용 제약공장’ 개발
2016.07.31
기기를 개발했다. 티모시 루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전자연구소 교수팀은 살아 있는
미생물
세포를 이용해 소량의 약물을 생산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를 개발했다고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크기 10 ㎝ 미만의 소형 반응기를 만들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름다운 화음? 그건 ‘문화’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16.07.31
발견한 지의류 중 하나인 ‘하이포짐니아 임샤우지(Hypogymnia imshaugii)’가 실렸다. 두
미생물
이 상부상조하는 공생생물인 지의류는 균류나 조류 각각보다 훨씬 생명력이 강하다. 그런데 140년 넘게 두 종류만으로 이뤄진 줄 알았던 지의류에 세 번째 구성원이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 ...
신비한 동물 속 여행 판타스틱 애니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7.29
독특한 소화기관에 대해서도 쉽게 배울 수 있었어요. 초식동물들은 대부분 장에 있는
미생물
을 이용해 식물 속에 있는 식이섬유소를 소화하기 때문에 장이 무척 크고 길답니다. 목이 기다란 기린 표본을 자세히 보며 목뼈의 개수도 세어 봤어요. 기린의 목뼈는 몇 개일까요? 정답은 사람과 똑같은 ... ...
대덕연구단지 ‘사이언스 리그’의 에이스 투수는 여성 과학자
2016.07.26
故) 최동원 선수에게 반해 꼭 투수가 되고 싶었어요. 학부부터 박사과정까지 보낸 부산대
미생물
학과 재학 시절에도 틈날 때마다 남자 선배들과 야구를 하곤 했죠.” 그는 가장 좋아하는 야구선수로 LA다저스의 류현진 선수를 꼽았다. 등번호 역시 류 선수와 같은 99번을 새겼다. 바쁜 와중에도 ... ...
18량 부산행 열차에 ‘좀비’가 나타났다
2016.07.24
탑승시킬 수 있다. 기존 연구결과에 따르면 작은 공간에 사람의 밀도가 높을수록 병원성
미생물
의 감염 확률은 높아진다. 열차는 좀비로 전염되기 아주 알맞은 조건이다. 알렉스 알레미 미국 코넬대 연구원은 지난해 3월 미국 샌안토니오에서 개최된 ‘미국물리학회(APS)’ 회의에서 (만약 좀비가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속속 밝혀지고 있다. 물론 메치니코프의 연구는 유산균에 국한된 것이었지만 대장을
미생물
의 생태계로 파악한 그의 철학은 여전히 유효하다. 루바 비칸스키는 아래 문구로 책을 마무리했다. “일리야 메치니코프가 죽은 지 한 세기가 지났지만, 그의 미래는 여전히 그의 앞에 놓여 있을 것이다.” ... ...
“피인용 지수(IF)로 연구자 평가, 불공정”
2016.07.11
D) 평가 시스템을 정량적인 기준에서 정성적인 기준으로 전환하고 있다. 2010~2015년 국제
미생물
계통및진화지(IJSEM) 편집자를 맡았던 조장천 인하대 교수는 “학술지에 실린 개별 논문들의 질은 천차만별”이라며 예전부터 “임팩트 팩터로 연구자의 성과를 일차적으로 판단하는 방식에 대해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