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558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이 판다 아닌 야생 판다가 풀밭에 있다면?
2015.07.12
진행한 지아오얀 팡 상하이지아오통대 교수는 “판다의 특이한 식단에 판다의 장내
미생물
이 적응하지 못한 것”이라며 “판다는 진화적 딜레마에 빠졌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과학원(CAS)은 ‘사이언스’ 10일자에 판다의 꿈쩍도 않는 생활 습관과 관련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원래 ... ...
멕시코만 원유 유출 5년, 생태계 살아났나?
2015.07.06
시간이 걸렸다. 반면 우리나라 태안이나 멕시코만은 따가운 햇빛이 기름을 분해하고
미생물
이 활발히 먹이로 삼으면서 빠른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기름유출로 큰 피해를 본 생물들도 많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큰돌고래로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기름유출로 상황이 악화된 ... ...
자일리톨 만드는 ‘슈퍼
미생물
’ 개발
2015.07.02
“자일리톨의 경우 다양한 합성수지와 고분자물질의 원료를 만든 데 쓰인다”며 “이
미생물
의 유전자를 변형시키면 바이오디젤이나 플라스틱 등 다양한 물질을 만드는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제2의 메르스 막으려면 ‘감염병 전쟁’ 수준의 대처 필요”
2015.07.01
키웠다”고 비판했다. 백신 개발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서승용 서울대 의대
미생물
학교실 교수는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오랜 시간과 큰 자본이 투자돼야 하고 이를 보상받을 수 있는 큰 시장이 필요하다”면서 “메르스의 경우 시장이 크지 않아 백신 개발이 쉽지 ... ...
[광화문에서/윤신영]은유로서의 질병
동아일보
l
2015.07.01
알레고리 혹은 은유다. 추상을 구체화한 대표적인 사례는 질병이다. 요즘은 광학기술과
미생물
학이 발달해 질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체의 모습을 눈으로도 생생히 확인하는 시대다. 세균은 물론이고 에볼라나 메르스 바이러스처럼 크기가 극히 작은 대상도 전자현미경으로 또렷이 포착한다. 하지만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군락으로 유명한 곳이다.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시아노박테리아(청세균)라는
미생물
이 만드는 암석이다. 시아노박테리아는 주위에 분비물을 내어서 생물막(biofilm)을 만드는데, 이 때 물에 있는 칼슘 등의 광물질이 퇴적되면서 생물막이 딱딱한 구조물로 변한다. 새로 번식하는 박테리아가 기존의 ... ...
시아노박테리아 생체시계 단백질의 ‘두 얼굴’
2015.06.26
한다. 남조류인 시아노박테리아는 생체시계 연구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미생물
이다. 시아노박테리아의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여러 단백질 가운데 ‘카이(Kai)C’는 두 얼굴을 가졌다. 생체시계의 ‘페이스메이커’ 역할을 하는 한편 생물체 에너지의 원천인 ATP를 분해하는 효소로도 활동한다. 특히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때마다 새로 등장한 병원체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우리는 늘 제자리걸음을 할 것이다. ‘
미생물
과 숙주의 상호관계’라는 좀 더 넓은 관점으로 사태를 바라봐야 한다는 카사데발 교수와 피로프스키 교수의 주장에 공감이 가는 이유다. ... ...
“감염 발생 즉시 병원名 공개… 환자거주 洞까지 밝혀야”
동아일보
l
2015.06.22
호흡기내과 명예교수 △배종면 제주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미생물
학교실 교수 △백혜진 한양대 광고홍보학부 교수(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장) △서동우 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설대우 중앙대 약학대학 교수 △성백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 △손창환 ... ...
[메르스 업데이트] “한국, 사스와 에볼라 때 겪었던 과오 반복해”
2015.06.21
미국 조지타운대 법학전문대학원 공중보건법 교수는 다니엘 루시 미국 조지타운의대
미생물
및 면역학 교수와 공동으로 미국의사협회 학술지 ‘자마(JAMA)’를 통해 “메르스 바이러스의 관리를 위해 보건전문가의 책임 하에 여행자들에 대한 질병검사를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