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2월 24일, 노원구에 위치한 서울시립과학관에서 ‘지구를 위한 과학’정기강좌 5강이 열렸어요. 이번 주제는 약 6500만 년 전 멸종해 우리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공룡’이에요. 과학자들은 현재 화석만 남아 있는 공룡의 모습을 어떻게 알아내는 걸까요? 강연장에서 직접 그 답을 찾아보세요 ... ...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얻은 정보를 합쳐서 서로의 간격을 150cm로 유지하며 원하는 모양을 완성해요.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은 드론들이 LED 빛을 내면 오륜기와 수호랑이 완성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Part 2. 조직력으로 승부한다!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뤄진 지역의 부분 지도를 8만 장 갖고있는 셈이다. 8만 장의 지도로 섬의 특정 지역의 위치를 정확히 찾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최 교수는 “82개 정도면 유전자의 어느 부분이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지 충분히 분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연구팀은 장미의 꽃잎 색깔과 향기의 상관관계도 처음 ... ...
- 누구나 쉽게 상상을 현실로, 한캐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한캐드를 개발한 이유를 설명했다. 한캐드의 주요 화면은 3차원 공간 좌표로 돼 있다. 위치는 물론이고 회전 방향, 도형의 크기 모두 좌표로 조절한다. 한캐드로 물체를 설계하다 보면 다양한 입체도형과 좌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공간지각능력이 자연스럽게 키워지는 건 덤이다. 디자인에서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리고 핀을 놓는 대신 상대방이 제시한 숫자와 위치가 맞으면 불, 숫자는 맞는데 위치가 다르면 카우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암호가 1357일 때 상대방이 1235라고 하면 1불, 2카우가 되는 거지요. 불과 카우는 워낙 인기가 많아서 1960년대 후반에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의 한 학생이 ‘MOO’라는 게임 ... ...
- Part 2. 조직력으로 승부한다!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필요해요.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이동준 교수는 “최근 군집로봇의 이동과 위치 인식 기술 등이 상당히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Part 2. 조직력으로 승부한다! 군집로봇Part 3. ... ...
- 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계산해 군집로봇들이 각자 구역을 나눠 작업을 해요. 그리고 씨앗이 심어진 정확한 위치와 시간을 기록해서 다음 단계의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돕지요. 또 한 대가 고장이 나도 나머지 로봇이 최적의 경로를 다시 계산해서 작업을 이어 나간답니다. 화석 연료가 아닌 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포항지진이 유발지진일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일반적으로 지진이 발생한 위치가 지열발전소와 가까울수록, 지열발전과의 연관성이 높아진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그리고 본진과 최대 여진들은 지열발전소 2km 이내에서 발생했으며, 2017년 11월 15~30일에 관측된 본진과 46회의 여진의 ... ...
- [Issue] 과학으로 카운트다운, 6·13 지방선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모든 투표용지의 한 귀퉁이에는 일련번호가 찍혀 있습니다. 올해는 일련번호가 찍힌 위치와 절취하는 절취선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바뀌었습니다. 투표지 분류기의 종이 걸림현상(잼)을 줄이기 위해서랍니다. 이번 지방선거에는 1분에 340매의 투표용지를 분류하는(후보자 6인 기준) 분류기 총 255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DNA가 다시 복구될 수 없을 정도로 산산조각 난다”고 설명했다. 중입자는 암세포가 위치한 지점에서 방사선량이 최고에 이르는 만큼 치료 과정에서 주변 정상세포에 피해를 거의 입히지 않는다. 또 암세포로 발전할 가능성을 가진 ‘저산소세포’까지 궤멸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중입자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