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수 있게 해주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3월 15일(현지 시간) 미국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 위치한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열린 ‘동형암호 표준화국제회의’에 참석한 데이비드 캐럴 마이크로소프트(MS) 수석 프로그램책임자는 세계적으로 개인정보보호법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빅데이터 분석 ... ...
- Part 3. 개인정보보호법 갈등 해결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현재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은 크게 개인정보보호법과 신용정보법, 정보통신망법, 위치정보법 등 네 가지로 나뉘어 있다. 이들 법에는 GDPR처럼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열람, 정정, 삭제, 처리 정지를 요구할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게다가 각 법은 신용정보 등 초점을 맞춘 분야가 정해져 있기 ... ...
- [Tech] KIOST 수중로봇 챌린지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어두운 곳에서는 로봇에 달린 전조등을 켤 수 있으며, 카메라를 위아래로 움직여 원하는 위치를 촬영할 수도 있다. 대회 미션은 총 세 가지였다. 바닷물을 정화하고 물고기에게 살 터를 마련해주는 해초를 피해 탐사하기, 씨로버 R100을 이용해 해저 생태를 탐사하며 생물을 찾아 사진 찍기, ... ...
- [과학뉴스] NASA에서 1억 년 전 발자국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메릴랜드 주에 위치한 NASA의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에서 1억 년 전 남겨진 발자국이 발견됐어요. 가로 0.9m, 세로 2.4m 크기의 암석에서 공룡뿐만 아니라 다람쥐 크기로 추정되는 포유류 등 8종의 생물이 남긴 70개의 발자국이 포착됐지요.암석을 발견한 공룡발자국 전문가 레이 스탠포드는 “이번에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같은 가상공간에 있으려면 센서의 위치뿐 아니라 플레이어가 서로 겹치지 않게 캐릭터의 위치를 포착하는 ‘포지션 트래킹’도 중요합니다.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면 어느 정도 추적이 가능하지만, 오차가 커서 자칫 같은 체험장 안에 있는 플레이어끼리 부딪칠 수 있거든요. 이때는 ‘삼각 ...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2015년부터 정밀 도로지도를 부분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민 책임연구원은 “정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라이다를 장착한 차량이 도로를 천천히 훑으면서 주행해 정밀 도로지도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다”며 “대덕연구단지 내 길이 8km 시험 도로의 정밀 도로지도를 구축하는 데에만 한 달이 ... ...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앞으로 지나갈 때 행성에 가려져 빛의 밝기가 살짝 어두워진다. 테스는 중심 별의 밝기와 위치를 관측하면서 그 값이 미세하게 달라지는 순간을 포착해 외계행성을 찾는다. 케플러가 찾아낸 2652개의 외계행성도 통과 측광법으로 발견했다.다만 테스에게 주어진 시간은 짧다. 케플러는 약 9년간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위치한 곳은 15번 염색체인데, HOTAIR가 발현을 억제하는 유전자들은 2번 염색체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HOTAIR 긴 비번역 RNA가 발현 억제 단백질들을 ‘태우고’ 목표로 삼은 유전자들이 있는 곳으로 움직였다는 뜻입니다. 이런 HOTAIR 유전자의 특성은 암 연구에서 아주 중요합니다. 앞서 ... ...
- [실전! 반려동물] 햄토리와 햄찌는 왜 자꾸 싸우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야생에서 천적을 피하기 위해 몸을 숨기던 습성이 남아있어서 하루 종일 자신의 위치가 노출되면 스트레스를 받아요. 따라서 우리에 작은 박스나 지푸라기를 넣어 햄스터가 숨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줘야 해요. 집 안에서 키우는 햄스터는 쳇바퀴를 통해 필요한 활동량을 얻어요. 이때 키우고 ... ...
- Part 3. 냠냠~ 미세먼지 잡아먹는 건물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짓고 여기에 총 700그루의 나무와 2만 개의 각종 식물들을 심었답니다. 식물이 놓인 위치와 높이에 따라 햇볕을 쬐는 시간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이에 맞춰서 식물이 배치되었지요. 이 건물은 미세먼지를 잡을 뿐만 아니라 매년 1만 9000kg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1만 8980kg의 산소를 만들 수 있답니다.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