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향해있다면, 시선보다는 배꼽이 향한 쪽의 사람에게 관심이 있을 확률이 높다.배꼽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면 다리를 꼬는 방향을 살펴보면 된다. 다리를 직접 꼬아보면, 다리가 꼬아진 방향으로 배꼽이 향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심리적으로 더 친밀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거나,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하다.3. 독수리의 일종인 터키콘도르의 날개뼈에 있는 깃혹(점선 원).4. 깃털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연조직만 해부했다. 이 교수는 “다만, 중국에서 티라노사우루스의 조상격인 ‘관롱’과 ‘딜롱’의 깃털 화석이 발견돼 티라노사우루스도 깃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덧붙였다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정맥 교통 인프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5월 14일 국내 언론으로는 처음으로 방문했다. 38선과의 직선거리가 약 13km, 최접경 지역에 위치한 탓인지 한랭한 기후가 북한 지역의 기후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악천후 기상재현 연구실험시설은 길이 650m, 4차선 도로로 설계됐다. 그중 300m 구간에서는 눈, 비, 안개 등 악천후를 재현할 수 있다.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모듈) 안에 담긴다. 전단부에 위치한 22개의 모듈은 영하 269도(4K·절대온도 4도), 후단부에 위치한 32개의 모듈은 영하 271도(2K)로 유지된다. 장현만 장치기반기술팀장은 “모듈은 가속관을 초전도 상태로 보관하는 일종의 냉장고”라며 “영하 270도 정도의 온도에서는 대부분의 기체들이 얼어 가속관 ... ...
- [인터뷰] 연세대 신입생 대표 염규민 “강점인 수리논술 집중해 부족한 내신 극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세대는 모든 신입생들이 1년간 인천 송도에 위치한 국제캠퍼스에서 기숙사 생활을 하며 수업을 듣고 공동체 생활을 하는 RC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RC 프로그램은 미국 하버드대와 예일대 등 세계 유수의 명문대들이 운영하는 교육 방식을 도입해 한국의 ... ...
- [과학뉴스] 분해 안 되는 펩타이드 약물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관절염 치료 후보물질 개발에도 성공했다. 권영근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는 “시스테인의 위치와 다리를 이루는 물질을 바꿔 다양한 펩타이드를 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doi:10.1038/s41557-018-0042-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세계팔씨름연맹 기준에 맞춘 테이블에서 한다. 테이블의 높이, 팔꿈치 패드의 크기와 위치, 손잡이(핸드 페그)의 규격 등이 엄격하게 정해져 있다. 팔씨름은 ‘통뼈’가 잘한다?인터넷에 ‘팔씨름 잘 하는 법’을 검색하면 여러 가지 비법들이 나온다. 그중에는 과장된 정보들도 많다. 대표적인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더 깊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얻고 5월 21일 현재 학술지에 투고 중이다. 이는 진원의 위치가 지열발전소의 주입정과 생산정 인근인 지하 4.3km 안팎이라는 김광희 부산대 교수팀의 연구결과와 배치되는 주장이다. 홍 교수는 “아직 논문으로 발표되지 않아 얘기하기 조심스럽다”면서도 “기상청과 ... ...
- 이공계 직업 정보 [ 생명과학 & 생명공학 ]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을 한 눈에 알 수 있는 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바로 유전자의 위치와 기능을 알 수 있는 ‘유전자 지도’다. 생명정보학자는 유전자에 담긴 정보를 분석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생명정보학은 생명과학과 생명공학뿐 아니라 정보기술(IT)이 결합된 융합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아닌 우박이 떨어졌던 5월 3일. 서울대 정밀기계설계 공동연구소 1층에 위치한 휴게실에서 여섯 명의 우주항공공학전공 학생들을 만났다. 17학번과 18학번인 이들은 출신 학교와 지역이 모두 달랐지만, 우주와 물리, 항공기와 로켓을 좋아한다는 공통분모가 있었다. 내신 4등급 받아도 포기 안해_1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