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박혀 있는데, 인지질이 이리저리 흐르듯 움직이는 유동성을 띠기 때문에 단백질의 위치도 유동적이다. 산소, 이산화탄소와 같은 분자는 인지질을 직접 통과할 수 있지만 포도당과 아미노산 같은 친수성 물질,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 물질은 인지질 층을 직접 통과할수 없다.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2월 24일, 노원구에 위치한 서울시립과학관에서 ‘지구를 위한 과학’정기강좌 5강이 열렸어요. 이번 주제는 약 6500만 년 전 멸종해 우리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공룡’이에요. 과학자들은 현재 화석만 남아 있는 공룡의 모습을 어떻게 알아내는 걸까요? 강연장에서 직접 그 답을 찾아보세요 ... ...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얻은 정보를 합쳐서 서로의 간격을 150cm로 유지하며 원하는 모양을 완성해요.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은 드론들이 LED 빛을 내면 오륜기와 수호랑이 완성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Part 2. 조직력으로 승부한다! ... ...
- 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계산해 군집로봇들이 각자 구역을 나눠 작업을 해요. 그리고 씨앗이 심어진 정확한 위치와 시간을 기록해서 다음 단계의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돕지요. 또 한 대가 고장이 나도 나머지 로봇이 최적의 경로를 다시 계산해서 작업을 이어 나간답니다. 화석 연료가 아닌 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 ...
- [과학뉴스] 분해 안 되는 펩타이드 약물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관절염 치료 후보물질 개발에도 성공했다. 권영근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는 “시스테인의 위치와 다리를 이루는 물질을 바꿔 다양한 펩타이드를 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doi:10.1038/s41557-018-0042-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포항지진이 유발지진일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일반적으로 지진이 발생한 위치가 지열발전소와 가까울수록, 지열발전과의 연관성이 높아진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그리고 본진과 최대 여진들은 지열발전소 2km 이내에서 발생했으며, 2017년 11월 15~30일에 관측된 본진과 46회의 여진의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모듈) 안에 담긴다. 전단부에 위치한 22개의 모듈은 영하 269도(4K·절대온도 4도), 후단부에 위치한 32개의 모듈은 영하 271도(2K)로 유지된다. 장현만 장치기반기술팀장은 “모듈은 가속관을 초전도 상태로 보관하는 일종의 냉장고”라며 “영하 270도 정도의 온도에서는 대부분의 기체들이 얼어 가속관 ... ...
- 이공계 직업 정보 [ 생명과학 & 생명공학 ]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을 한 눈에 알 수 있는 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바로 유전자의 위치와 기능을 알 수 있는 ‘유전자 지도’다. 생명정보학자는 유전자에 담긴 정보를 분석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생명정보학은 생명과학과 생명공학뿐 아니라 정보기술(IT)이 결합된 융합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거의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수온이 1~3도로 낮고, 1년 내내 거의 변화가 없다. 또 시간이나 위치에 관계없이 해수의 성질도 거의 비슷하다. 공기층을 이루는 기권기권은 지상에 가까운 곳부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등 네 영역으로 나뉜다. 대기 중 80~85%는 대류권(고도 11km 이내)에 포함된다. ... ...
- 누구나 쉽게 상상을 현실로, 한캐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한캐드를 개발한 이유를 설명했다. 한캐드의 주요 화면은 3차원 공간 좌표로 돼 있다. 위치는 물론이고 회전 방향, 도형의 크기 모두 좌표로 조절한다. 한캐드로 물체를 설계하다 보면 다양한 입체도형과 좌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공간지각능력이 자연스럽게 키워지는 건 덤이다. 디자인에서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