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아마추어 천문가들, 새로운 오로라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긴 리본 모양이에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인공위성을 사용해 이 오로라의 위치와 발생 과정을 추적한 결과, 이 오로라는 섭씨 6000℃에 달하는 뜨거운 기체가 지구 표면 200km 상공에서 빠른 속도로 흐를 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 가상현실 체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설치되어 있는 2대의 ‘라이트하우스’ 센서는 적외선을 통해서 HMD와 컨트롤러의 위치와 움직임을 빠르게 파악해요. 즉, 현실 속에서 HMD를 착용한 사용자가 움직이면 라이트하우스 센서가 이를 바로 파악해 가상현실에 그대로 반영되는 거랍니다. 둥둥 떠다니는 그림을 그려 보자!“왼손을 내밀면 ...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팀은 이전부터 이 중심별을 돌고 있는 행성들이 있을 거라고 추측했지요. 그래서 칠레에 위치한 망원경으로 이 중심별을 계속 관찰하고 있었답니다. 그 결과, 7개의 행성을 한꺼번에 발견한 거예요. 이 행성들을 처음 발견했을 땐 놀라움을 넘어서 경외감까지 느꼈답니다. Q. 트라피스트-1의 ... ...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B의 과거와 만나고, B는 미래의 A를 보게 된다. 시간이 더 흘러 12시가 되면, A는 처음 0시의 위치에 있게 되고, B의 눈에는 A가 12시간을 거슬러 시간여행을 한 것처럼 보인다. 수학은 물질의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시간이라는 차원을 얼마든지 구부릴 수 있다. 현실 세계에는 아직 이 아이디어를 ... ...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 있습니다. 행렬은 숫자를 줄에 맞춰 나열한 것으로, 행렬을 더하는 건 두 행렬의 같은 위치에 있는 숫자를 더한다는 뜻이에요. 두 행렬을 더하려면 가로세로에 있는 숫자의 개수가 반드시 같아야 하지요. 편의상 앞에서 숫자로 나타낸 시작보드를 A, 도착보드를 B라고 합시다. 시작보드를 뒤집는 ... ...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못했던 중심별들을 집중적으로 관측할 계획이랍니다. TESS의 목표는 골디락스 존에 위치하며, 단단한 지각을 가진 외계행성을 최대한 많이 발견하는 거예요. TESS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NASA의 스테펜 라인하트 연구원은 “TESS가 발사되면 지구와 닮은 외계행성들을 더 많이 찾아낼 것”이라며, ... ...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세 국가에 천문대를 세우고 약 8시간씩 돌아가면서 운영하고 있지요. 각기 다른 대륙에 위치한 세 개의 천문대가 같은 중심별을 연속적으로 관측하는 덕분에 연구자들은 24시간 동안 쉬지 않고 외계행성을 찾을 수 있답니다. KMTNet은 ‘미시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해 외계행성을 찾아요. 원래 두 ... ...
- Part 2. 메가기둥 구조로 중력을 거스르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이용해 메가기둥을 단단하게 연결하는 ‘벨트 트러스 구조’를 건물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면, 더 강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다. 단순히 개별 기둥을 합친 것보다 더 큰 저항력이 생긴다. 나뭇가지 여러 개를 묶었을 때 부러뜨리기 어려운 원리를 적용했다고 생각하면 쉽다. 트러스★ 여러 개의 ... ...
- [과학뉴스] 광케이블로 지진 포착한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위상 변화를 측정하면 지진파를 측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진의 규모와 진앙의 위치도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기법을 이용해서 이탈리아와 뉴질랜드, 일본, 멕시코 인근 해저에서 발생한 지진을 측정한 결과 지상의 지진계만큼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doi:10.1126/science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한국 이론가들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박성찬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는 남극에 위치한 ‘아이스큐브(IceCube)’ 중성미자 관측소에서 관측된 새로운 중성미자가 암흑물질이 붕괴한 신호일 수 있다는 이론을 2015년 7월 ‘피지컬 리뷰 D’에 발표했다. doi: 10.1103/PhysRevD.92.023529 아이스큐브는 가로 세로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