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면"(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붙어서 에볼라의 RNA를 숙주 안에 넣는 거죠. 이때 세포를 붙잡는 손이 에볼라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당 단백질입니다. 인간세포에는 콜레스테롤 농도를 조절하는 착한 단백질이 붙어 있는데 에볼라의 당 단백질은 이 단백질을 속여 통로로 활용합니다. 사기꾼인 셈이죠.에볼라의 유전정보 즉, RNA는 ... ...
- [Knowledge] 어느 날 멈춰있던 땅이 움직이기 시작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너무 ‘핫’했다. 소행성의 잦은 충돌이 원인이었다. 소행성이 떨어질 때마다 지표면의 암석이 녹았고, 지구는 부글부글 끓는 마그마로 뒤덮였다. 이것이 지구 초기에 존재했던 ‘마그마 바다’다. 소행성에는 핵에너지를 내뿜는 방사성 동위원소도 많았다. 지구는 더 뜨거워졌다. 핵폭탄 수천 개가 ...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0만 년 전 나타났다판피어 암컷의 생식기를 덮고 있는 판은 치즈나 양파를 가는 강판처럼 표면이 아주 거칩니다. 수컷 성기가 잘 들러붙도록 하기 위해서지요. 일단 수컷 성기가 암컷 생식기 입구에 도달하면, 오로지 끝 부분만 암컷의 생식기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이 작은 물고기들은 ... ...
- [Life & Tech] 사랑은 얼음스케이트를 타고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속을 흐르면서 열을 빼앗아 얼음을 얼립니다. 얼음 온도가 영하 30℃ 이하로 내려가면 표면에 물 층이 생길 틈이 없고, 온도가 높아 물이 너무 많이 생겨도 스케이트를 즐기기 어렵기 때문에 얼음 온도를 보통 영하 15~20℃로 유지합니다.고개를 들어 주변을 둘러보니, 딱 붙어 떨어질 줄 모르는 커플이 ... ...
-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하늘에 둥둥 떠서 가는 듯한 색다른 느낌이 들겠지요. 창문이 없는 매끄러운 동체 표면에는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수도 있어요.김승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반기술실장 : 아직은 창문보다 디스플레이가 훨씬 무거워요. 이착륙시 극심한 진동에 견디기 어렵고 전력을 많이 먹는 것도 ... ...
- [과학뉴스] 혜성 탐사선 ‘로제타’ 2014년 연구 성과 1위과학동아 l2015년 01호
- 5억1000km 떨어진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에 도착한 뒤 2014년 11월 13일 혜성 표면에 필레를 무사히 내려 놨다. 이후 혜성의 대기에서 물과 메탄, 수소뿐만 아니라 포름알데히드와 사이안화수소 같은 성분을 확인했다는 소식을 보내왔다.회춘의 실마리를 찾은 연구도 10대 성과에 올랐다. 미국 ...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섬유로 밝혀진 20개를 제외하고 샘플 37개를 엄선했다. 연구팀은 샘플에 묻은 손때, 즉 표면 오염을 최대한 제거했다. 미국 뉴욕대 인류학과 토드 디소텔 교수는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연구진은 모든 표준절차를 준수해 오염의 소지를 최대한 줄였다”고 평가했다. 연구팀은 그 뒤, 샘플에 ... ...
- [수학뉴스] 뒤틀리는 비누막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닫힌 고리의 길이를 늘이거나, 길이는 유지하고 고리의 모양을 비틀면서 이때 작용하는 표면장력과 저항력을 측정했다.그 결과 고리의 길이가 길어지면 평면이었던 비누막이 아령 모양으로 바뀌었다. 고리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저항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한편, 고리를 비틀었을 때는 반대로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내접할 수 있다.캐롤린 교수는 이를 활용해 구 안에 정다면체가 내접했다고 가정하고 구 표면에 정다면체의 핵심 요소를 표시했다. 예를 들어 꼭짓점에는 별을 표시하고 그 별을 직선으로 이어 구획을 나눴다. 이렇게 구형의 털뭉치 위에 여러 가지 정다면체의 기하학적 특성을 나타내고, 대칭의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연구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주로 홀로그램을 연구하던 이 교수는 2005년부터 표면 플라즈몬 연구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 분야에 뛰어들었다고 해요.연구단은 빛을 플라즈몬으로 바꾼 뒤 볼록렌즈와 같은 장치를 거쳐 한 점에 모으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때 빛이 모이는 점을 조절할 수 있다는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